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정부, 수출 마케팅 예산 60% 상반기 조기 투입


입력 2018.02.13 06:00 수정 2018.02.13 06:05        박영국 기자

주요 업종 수출 점검회의…수출 증가세 유지 위해 정책역량 집중

정부가 수출 증가세 유지를 위해 수출 마케팅 조기 추진, 무역보험 확대 지원, 현장애로 해소 등 정책역량을 집중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세종시 산업통상자원부 대회의실에서 김영삼 무역투자실장 주재로 ‘주요 업종 수출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반도체협회, 자동차협회, 자동차협동조합, 조선협회, 전자정보통신진흥회, 철강협회, 석유화학협회, 석유협회, 기계산업진흥회, 섬유산업연합회, 디스플레이협회 등 11개 주요 업종 협·단체 및 코트라·무역보험공사 등 수출지원기관이 참석해 2월 수출동향을 점검하고, 업종별 수출진작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김영삼 무역투자실장은 “올해 1월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22.2% 증가해 지난해에 이어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면서도 “2월에는 대내외 수출 여건이 녹록지 않다”고 우려를 표했다.

주요 수출 하방요인으로는 우선, 설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2.5일 감소와, 중국 춘절 연휴(2월 15~21일), 지난해 2월 수출(2016년 2월 대비 20.2% 증가) 호조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지목됐다.

대외적으로는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수입규제 조치 확대 및 미국·중국간 무역갈등 심화 등이 우리 수출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언급됐다.

한편,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도 미국 국채금리 및 리보(Libor) 급등, 주요국 주가 상승 등으로 다소 과열되면서, 국제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도 동시에 확대되는 추세다.

이번 수출점검회의에서 주요 업종별 협·단체 역시 2월 수출 증가세 유지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특히, 13대 주력품목 중 조업일수 영향이 큰 자동차·차부품·일반기계·섬유를 비롯, 해외생산 비중이 확대되는 무선통신기기․가전의 수출 감소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김 실장은 “정부와 수출 지원기관, 업계가 다 같이 위기 의식을 공유하고, 업종별로 수출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수출 저해요인을 최대한 사전에 조치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부도 수출 하방리스크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정책 역량을 총동원한다. 우선 수출 마케팅 예산의 60%를 상반기에 조기 투입한다.

특히, 수출 둔화가 예상되는 2월에는 의료기기·2차전지·소비재 등 총 19회의 국내 및 해외전시회 참여와 바이어 발굴을 적극 지원해 수출 상담이 실제 계약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실질적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고위급 해외순방과 연계해 상담회·세미나 등 신흥국 경제외교를 강화하고 신남방정책 지역 중심으로 무역사절단을 집중 파견할 계획이다.

또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지난해(지원실적 48조원)보다 1조원 확대된 총 49조원의 무역보험을 지원해 기업들의 시장 개척활동을 적극 뒷받침할 계획이다.

무역실무부터 수출계약·이행까지 수출 전 과정에 대한 밀착 지원 강화 등을 통해 연간 5000개 내수기업을 수출기업화하고, 수출에 성공한 수출 초보기업의 수출중단 방지를 위한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아울러, 한류 활용 소비재 마케팅, 서비스 전용 수출바우처 신설 등을 통해 소비재·서비스 분야 신규 유망 아이템 육성에도 전력을 다할 예정이다.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