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제안할까...10일 만남에 쏠린 눈
문 대통령 김여정 '간접 남북 정상회담'에 주목
비핵화 메시지와 함께 남북관계 분수령에 관심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친동생인 김여정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북한 고위급대표단의 일원으로 9일 한국을 방문하고 문재인 대통령의 면담이 이뤄지면서 남북정상회담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최대 관심은 10일 문 대통령과 김여정의 만남이다. 이날 문 대통령은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비롯한 북한 고위급 대표단을 접견하고 오찬을 갖는다.
이 자리에서 김여정이 김정은의 친서를 꺼낼 것으로 보인다. 단순히 올림픽개최를 축하한다는 '덕담'을 넘어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포함한 김정은의 메시지를 직접 전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무엇보다 북한의 평창행 자제가 유화적 제스처다. 더욱이 북한은 전날 열린 건군 70주년 열병식을 생방송이 아닌 녹화로 공개한데다 규모도 축소했다. 김정은의 연설 수위도 이전에 비해 한층 낮아지는 등 자극하지 않으려는 모습이 역력했다.
이미 김여정이 김정의의 의중을 누구 보다 잘 아는 대리인이자 최고 실세라는 점에서 이날 문 대통령과의 만남이 사실상 '간접 남북 정상회담'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김정은이 남북 정상회담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전망과 함께 속에 미국 CNN은 8월15일 광복절에 맞춰 문 대통령을 평양으로 초대할 가능성까지 거론했다.
문 대통령도 지난달 10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여건과 전망이 갖춰지면 정상회담을 할 용의가 있다"고 밝힌 만큼 북한이 공식 제의한다면 남북 관계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회담을 위한 회담은 목적이 아니다"고 밝혀온 문 대통령이다. "제 임기 중에 북핵 문제를 해결하고 평화를 공고하게 하는 것이 저의 목표"라고 했고, "한반도 비핵화는 결코 양보할 수 없는 우리의 기본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에게 평양행 초청장을 보내려면 비핵화에 대한 응답도 함께해야 한다는 점은 간과할 수 없는 전제조건이다. 북한이 정상회담을 제의한다면 우리의 답변 여부와 관계 없이 남북 관계의 획기적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데 이견이 없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