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가상통화 이용 신종 환치기 등 불법외환거래 적발
특별단속 실시로 지금까지 6375억 상당 외환 범죄 덜미
가상통화 구매 위해 해외에 개설된 해외예금 미신고 등
관세청은 범정부 가상통화 관련 대책의 일환으로 가상통화를 이용한 무등록외국환업무(이하 환치기) 실태를 조사하고 가상통화 관련 불법 외환거래를 엄단하고자 특별단속을 실시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6375억원 상당의 외환 범죄를 적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주요 단속유형은 불법 환치기 4723억원, 가상통화 구매목적으로 해외에 개설된 해외예금 미신고 1647억원, 가상통화 구매 목적으로 송금한 금액 중 일부를 해외 페이퍼컴퍼니에 은닉한 재산국외도피 5억원 등이다.
관세청은 최근 중국의 가상통화에 대한 강력한 규제로 현금화가 불가능함에 따라 국내로 반입해 현금화한 후 환치기 등 방법으로 불법 반출할 가능성이 증가하고, 가상통화 투기 과열로 가상통화 해외구입 목적의 불법 외화반출 개연성이 높아짐에 따라 가상통화 이용 불법 환치기 단속 태스크포스를 운영해 가상통화를 이용한 불법 환치기, 마약·밀수 자금의 불법이동 등 불법행위를 집중 단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그 동안의 사례를 보면 양국 간 환치기 계좌에서 거래대금을 상호 상계한 뒤 부족잔액 발생 시 이를 보충할 목적으로 불법적으로 휴대반출하거나 은행을 통해 송금했으나 최근에는 가상통화를 이용해 송금하는 방식이 나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환전영업자가 환전업무 외에 불법으로 환치기 송금업을 하면서 가상통화를 이용해 송금하고 송금의뢰인으로부터 송금수수료를 받지 않고 가상통화 시세차익으로 수수료를 대신하는 신종 환치기 수법도 적발됐다.
이밖에 국내에서 해외 가상통화 구매를 위한 은행송금이 어려워지자 해외에 페이퍼컴퍼니를 설립해 무역계약을 체결하고, 이 계약을 근거로 가상통화 구매자금을 해외 페이퍼컴퍼니에 송금하는 신종수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관세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환전영업자나 가상통화 구매대행 업체 등에 대한 불법외환거래 및 자금세탁 혐의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수출입기업이 저가로 수입신고해 관세를 포탈하거나 밀수담배와 마약 등 불법 물품의 거래자금으로 가상통화를 이용하는 행위에 대해 정밀 분석해 조사하는 등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단속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