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올들어 또 사상 최대…집단·신용대출 급증
10월 가계대출 6조8000억 증가…전월비 1조9000억↑
10월 가계대출 6조8000억 증가…전월비 1조9000억↑
지난 7월을 기점으로 감소추세를 보이던 가계대출 규모가 10월 들어서 다시 급증세로 전환했다. 올해들어 가장 최대 규모로 증가한 것이다.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 10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말 가계대출 잔액은 756조원으로 전월비 6조8000억원이 증가했다. 10월 대출증가액은 지난달(4조9000억원)보다 증가폭이 무려 1조9000억원이나 늘었다.
그 중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3조3000억원이 증가하며 전월과 동일한 수준으로 늘었지만 기타대출은 지난달에 비해 두배 이상 늘어나 3조5000억원을 육박했다.
특히 기타대출은 최장기 연휴에 따른 소비성 자금수요 확대와 인터넷전문은행 신용대출 지속 등으로 크게 늘었다.
기타대출 증가액은 지난 9월 1조7000억원에서 10월 3조5000억원으로 두배이상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주담대는 추석 연휴에 따른 주택거래량 축소에 따라 개별 주담대 증가규모가 축소됐지만 중도금 등 집단대출이 늘어나면서 전월과 비슷한 폭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아파트 매매거래량이 지난 8월을 기점으로 꾸준히 감소하는 것과는 대비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실제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지난 8월 1만5000호에서 9월(8000호), 10월(4000호)에 들어서며 꾸준히 감소추세를 보였다.
10월중 기업대출도 증가폭이 5조6000억원으로 전월에 비해 소폭 확대됐다.
대기업 대출이 분기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등으로 증가세로 전환했고 중소기업대출은 전월중 대출 선취급 영향 등으로 증가폭이 줄었다.
회사채는 상환물량이 크게 늘면서 순상환으로 전환됐다. 기업어음(CP)은 기업의 분기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등으로 순발행 전환됐다.
한편 10월중 은행 수신은 감소세로 전환한 반면 자산운용사 수신은 증가세를 보였다.
또 국고채 3년물 금리는 국내 경제지표 호조 등으로 지난 7일 기준으로 2.13%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9월말 1.89%보다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다. 코스피 지수도 기업실적 개선과 미국의 주가 강세 영향으로 큰 폭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 7일 장 마감기준으로 2545포인트를 기록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