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앵커시설 주변 역세권 상가, 매출·임대료 모두 높아


입력 2017.10.04 06:00 수정 2017.10.04 06:21        원나래 기자

앵커시설 여부에 따라 월 매출 2배 차이…역 이용객도 인근 역보다 많아

고덕역 더 퍼스트 단지 상가 투시도.ⓒ위퍼스트

서울 역세권 상가라 해도 모두 수익률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역세권이라도 역 주변에 앵커시설 여부에 따라 상가의 투자성이 크게 차이가 났다.

4일 소상공인진흥공단이 공개한 매출현황 데이터(6월기준, 카드사 가맹점 매출통계 기반)를 살펴보면 서울 강동구 고덕역 상권의 월 평균매출은 6340만원으로 강동구 상권 중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고덕역 주변에는 강동경희대학교병원과 약 60만㎡ 규모의 명일근린공원과 17만5000여㎡의 강동그린웨이캠핑장 등의 앵커시설이 위치해 있다. 반면 같은 강동구 명일역 상권은 월 평균매출 3210만원으로, 고덕역 상권 매출의 절반 수준이다. 명일역 근처에는 대형공원이나 쇼핑몰, 업무시설 등의 앵커시설이 없다.

서울 광진구도 마찬가지다. 광진구 강변역 상권의 월 평균매출은 6800만원, 반면 군자역은 3544만원에 그쳤다. 강변역 주변에는 동서울종합터미널을 비롯해 테크노마트와 롯데마트, 엔터식스 등의 복합쇼핑몰이 있지만, 군자역은 5호선 7호선 환승역임에도 역 근처에 앵커시설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처럼 앵커시설이 있는 역세권 상가의 매출액이 높은 이유는 외부유입을 끌어당길 수 있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앵커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지하철을 이용해 타 지역에서 오는 인구가 많다 보니 주변 상권 매출 상승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앵커시설이 있는 역은 상대적으로 역 이용객이 많다. 서울교통공사(1~8호선)에서 발표한 2017년 1~7월 서울교통공사 승하차 인원을 보면, 강동구 고덕역(지하철 5호선) 승하차 인원은 일 평균 1만8748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명일역(지하철 5호선) 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1만6704명으로 고덕역 승하차 인원보다 일 평균 2044명 적다.

강변역과 군자역도 마찬가지다. 1~7월 동안 강변역(지하철 2호선) 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9만6180명으로 나타났다. 이와 비교해 군자역(지하철 5·7호선) 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4만9041명(5호선 2만5183명, 7호선 2만3858명)으로 강변역보다 일 평균 4만7139명이 적다.

때문에 임차인들 사이에서 이러한 상권의 선호도가 높다 보니 임대료도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돼 있다. 이에 임대투자 입장에서는 높은 수익률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소상공인진흥공단 임대시세통계(활성화지역 1층 기준) 결과, 지난해(12월 기준)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역 상권 평균 임대시세는 ㎡당 2만2517원으로 나타났다. 청량리역 주변에는 청량리기차역과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등의 앵커시설이 있다. 반면 뚜렷한 앵커시설이 없는 동대문구 장한평역 상권 평균 임대시세는 ㎡당 1만9363원으로, 청량리역 상권보다 낮았다.

고시학원가와 대규모 수산시장이 있는 서울 동작구 노량진역 상권도 평균 임대시세는 ㎡당 3만7726만원인 것과 비교해 보면 인근 동작구 신대방삼거리역 상권 평균 임대시세는 ㎡당 2만6255만원으로 ㎡당 1만원 가량 낮았다. 신대방삼거리역 주변 역시 뚜렷한 앵커시설은 없다.

부동산 전문가는 “앵커시설은 지역 외부인구까지 끌어들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가 이용객이 많아 상권이 활성화되는 경우가 많다”며 “역세권 입지여도 단순히 거쳐가는 지역이 아닌 그 상권을 위해 사람들이 찾아오는 역세권 상가야 말로 투자가치가 있는 상가라 볼 수 있겠다”고 말했다.

이에 상가투자를 생각하는 수요자라면 역세권 상가 중에서도 앵커시설이 밀집한 지역 내 역세권 상가를 한번 살펴보는 것이 좋다.

위퍼스트(시행사)는 올해 서울 강동구 명일동 고덕상업지역에서 주거용 오피스텔 고덕역 더퍼스트 단지 상가를 분양한다. 고덕역 더퍼스트 단지 상가는 지상 1~4층 57개 점포, 연면적 6028㎡ 규모다. 지하철 5호선 고덕역 4번출구 바로 앞에 위치한 초역세권 상가이다. 고덕역 주변에는 강동경희대학교병원과 약 60만㎡ 규모의 명일근린공원과 17만5000여㎡의 강동그린웨이캠핑장 등의 앵커시설이 위치해 있다. 또 상가 주변으로 오는 2020년까지 2만가구가 넘는 대규모 단지가 조성될 예정으로 지역 수요도 풍부하다.

한화건설은 10월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7가에서 ‘영등포뉴타운 꿈에그린 스퀘어’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 상가는 지하 1층~지상 2층, 연면적 5만6657㎡ 규모다. 지하철 5호선 영등포시장역 초입에 위치해 있고, 주변에 한림대한강성심병원과 타임스퀘어, 신세계백화점 등의 앵커시설이 밀집해 있다.

신한종합건설은 서울 은평구 진관동 은평뉴타운 준주거용지 5블록에서 ‘신한 헤센 스마트’ 상업시설을 분양 중이다. 이 상가는 지하 2층~지상 2층, 연면적 1만8305㎡, 총 34개 점포 규모로 조성되며,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세권 대로변에 위치한다. 구파발역 주변으로 대형 복합쇼핑몰인 ‘롯데몰’이 운영 중에 있다. 2018년에는 가톨릭대학 은평성모병원이 완공될 예정으로, 역세권 앵커시설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도권에서도 앵커시설이 있는 역세권 상가도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SK건설은 10월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4공구 M-1블록에서 ‘송도 SK VIEW 센트럴’ 단지 내 상업시설을 분양할 예정이다. 이 상가는 지상 1~2층, 연면적 3846㎡ 규모로 구성된다. 이 상가는 인천1호선 인천대입구역세권 상가로, 인천대입구역 주변으로 신세계복합쇼핑몰, 롯데몰, 이랜드몰 등 3개의 대형 복합쇼핑몰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 쇼핑몰로 인해 인천대입구역세권 상권으로 외부유입을 끌어들이는 앵커시설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