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반원전 단체, 신고리 공론화 보이콧 철회…"탈핵 열망 받들 것"


입력 2017.09.22 15:33 수정 2017.09.22 23:03        박진여 기자

공론화 과정 공정성·중립성 훼손 우려…"공정한 관리 이뤄져야"

찬반단체, 시민참여단 제공 자료집·동영상 강의 합의…다음주 배포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론화 과정에 참여하는 반원전 단체가 보이콧을 철회하면서 공론화 작업이 예정대로 진행될 전망이지만, 여전히 공론화 과정의 공정성·중립성이 논란이 되면서 험로가 예상된다.(자료사진) ⓒ연합뉴스

공론화 과정 공정성·중립성 훼손 우려…"공정한 관리 이뤄져야"
찬반단체, 시민참여단 제공 자료집·동영상 강의 합의…다음주 배포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론화 과정에 참여하는 반원전 단체가 보이콧을 철회하면서 공론화 작업이 예정대로 진행될 전망이지만, 여전히 공론화 과정의 공정성·중립성이 논란이 되면서 험로가 예상된다.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을 주장하는 '안전한 세상을 위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시민운동'(시민행동)은 당초 보이콧 계획을 철회하고 공론화 과정에 적극 참여할 뜻을 밝혔다.

시민행동은 22일 대표자회의를 통해 "소속 단체 논의·토론을 거쳐 최종적으로 공론화 과정에 적극 대응하기로 결정했다"며, 무엇보다 탈원전을 기대하는 시민들과 시민대표 참여단 500명의 열망을 받드는 일이 중요하다는 판단하에 적극 참여키로 결정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여전히 공론화 과정에서 공정성·중립성 훼손이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한수원이 원전 관련 홍보물을 배포하고 있으며, 정치권과 언론도 왜곡된 주장을 계속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시민행동은 공론화위 측에 공정성과 중립성을 촉구하고 있으며, 공론화위는 찬반 양측의 합의를 이끌어내는데 더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민행동은 "공론화위에 몇 차례 공문을 보내 이에 대한 조치를 요구했으나 '건설재개 측과 협의하라'는 식으로 발뺌했다"며 "공론화위는 공론화 과정에 대한 공정한 관리 의지와 능력 부족을 보여줬다"고 비판했다.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론화 과정에 참여하는 반원전 단체가 보이콧을 철회하면서 공론화 작업이 예정대로 진행될 전망이지만, 여전히 공론화 과정의 공정성·중립성이 논란이 되면서 험로가 예상된다.(자료사진) ⓒ연합뉴스

그러면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과정이 그간 정부가 일방적으로 결정해온 에너지 정책을 민주적인 방식으로 전환하는 모범이 돼야 한다"며 공정한 공론화를 거듭 촉구했다.

한편, 신고리 원전 5·6호기의 운명을 결정할 '시민참여단'이 숙의 과정에 본격 돌입한 가운데, 숙의토론의 기초가 되는 자료집이 찬반 양측의 합의로 다음 주 중 배포될 예정이다.

시민참여단에 제공되는 기본적인 자료 제공 역할을 맡은 찬반 양측 단체는 당초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며 자료집 구성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마라톤협상 끝에 합의점을 찾으면서 공론화 작업이 일정대로 진행될 전망이다.

양측 단체가 합의한 자료집 목차는 △서론 △에너지 정책 변화 △안정성 △국가 경제 및 수출에 미치는 영향 △원전 건설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 △기타 쟁점사항 △종합의견 등으로 구성됐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