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개편] 2021학년도 수능, 재수생은 어쩌나
제2안 받아들여지면 자퇴 등 학교 파행 학생 나올 듯
제2안 받아들여지면 자퇴 등 학교 파행 학생 나올 듯
교육부가 지난 10일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2020년 말에 응시하게 될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 시안을 발표한 가운데 재수생·검정고시생을 배려하지 못한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교육부는 시험과목으로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신설하면서 국어, 수학, 탐구 과목은 현행의 상대평가를 유지하고 통합사회·통합과학만 절대평가를 실시하는 ‘제1안’과 7개 전 과목에 9등급제 절대평가를 도입하는 ‘제2안’을 들고 나왔다.
2021학년도 수능을 치를 재수생과 검정고시생은 기본적으로 ‘통합사회·통합과학’이 필수로 추가된다는 부담이 있다. 이 ‘통합사회·통합과학’은 현재 중3 학생들이 고등학교에 들어가면 1학년 때만 배우는 과목으로, 그 이전 학생들은 수업을 접해볼 수조차 없는 과목이다.
그럼에도 제1안이 받아들여졌을 때는 ‘통합사회·통합과학’이 절대평가 과목이기 때문에 학교를 포기하는 학생이 속출할 정도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제2안이 받아들여졌을 때다. 현재 고1학생들 중 학교 내신이 미흡한 학생들은 논술과 수능 전형 밖에 없는데, 논술 전형은 사실상 폐지하겠다고 예정 된 상태다. 이 학생들이 현행 수능체제의 마지막 세대로 재수를 선택하면 전과목 절대평가가 도입된 수능을 통한 대학입시 기회가 사라지는 것과 같다.
입시전문기관 ‘종로학원 하늘교육’은 “수능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자격고사 수준으로 남게되는 2안이 받아들여 진다면 서울소재 주요 대학들은 대부분 정시에 대한 선발의 의미가 없어진다”며 “현 수능체제의 마지막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남은 학교생활에 대한 불안감과 압박감이 엄청날 것이다. 학교내신이 좋지 않은 학생의 자퇴 등 파행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리 내신을 올리기 쉬운 학교로 전학을 가거나, 절대평가로 바뀌기 전에 재수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서 자퇴하는 학생도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