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중외제약 창립72주년…"필수 의약품 공급으로 사회 기여"
'인간생명 존중' 가치에 따라 환자 치료 위한 필수 의약품 생산
해방둥이 기업인 JW중외제약이 8일 72번째 창립기념일을 맞았다.
JW중외제약은 1945년 '조선중외제약소'라는 이름으로 출발해 1953년 ‘대한중외제약’으로 상호를 변경하면서 현대적 기업 형태를 갖췄다. JW중외제약은 '생명존중'의 창업이념에 따라 1959년 ‘5% 포도당’, 1969년 인공신장투석액 ‘인페리놀’ 등 환자에게 꼭 필요한 약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며 치료제 중심의 제약회사로 기틀을 다졌다.
수액 사업은 대규모 설비가 필요하고 제약사 입장에서 채산성이 맞지 않는 측면도 있지만, JW중외제약은 변함 없이 수액을 생산하고 있다. 현재 연간 약 1억1000만 백을 생산해 국내 소비량의 40% 이상을 공급하고 있다.
환자 치료에 필수적이나 수익성이 낮아 제약사가 생산을 기피하는 퇴장방지의약품은 현재 총 755개가 지정돼 있다. JW중외제약은 이 중 140개 품목(JW생명과학 20개 포함)을 생산하고 있다.
JW중외제약은 기업 활동 자체가 사회와 회사 모두에 이익이 되는 공유가치창출(CSV) 모델도 보여주고 있다. 창업주인 고 이기석 선생은 CSV 개념이 없던 창업 초기부터 수액과 같은 필수 치료제 생산에 중점을 두며 ‘인간생명 존중’의 가치를 추구했다.
제약회사로서 '환자 치료'라는 업의 본질에 최선의 가치를 둬 사회에 공헌하고, 그에 따라 기업의 신뢰도를 높여 투자도 확대해가겠다는 것이었다.
JW중외제약은 질병으로 고통 받는 환자에게 필요한 약을 개발하는 것 자체가 CSV의 실천이라는 사명감으로 차별화된 연구개발(R&D)도 추진하고 있다.
축적된 기술과 인력을 바탕으로 1983년 ‘중앙연구소’를 비롯해 1992년 국내 최초의 한·일 합작연구소인 ‘C&C신약연구소’를 세우고, 2000년에는 미국 시애틀에 화학 유전체학 전문 연구기관인 ‘JW Theriac’도 설립했다.
이러한 글로벌 R&D 네트워크 구축을 기반으로 대부분의 국내 제약사가 집중하고 있는 일반신약과 개량신약을 넘어 연구초기 단계에서부터 First-in-Class 타깃을 발굴하고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신약에 초점을 맞춰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JW중외제약의 대표적인 R&D 프로젝트는 암세포 성장과 암 줄기세포에 관여하는 신호전달물질 Wnt/b-catenin 기전을 억제하는 Wnt 표적항암제 ‘CWP291’이다.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급성골수성백혈병, 재발성 다발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다.
또 C&C신약연구소와 함께 통풍치료제 ‘URC102’,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FR-1345’ 등을 개발하며 혁신신약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있다.
C&C신약연구소는 2010년 혁신형 신약 개발을 본격 추진한 이후 연구소만의 독창적인 코어 테크놀로지 플래폼을 바탕으로 6년 만에 혁신신약 후보물질 8개를 도출했다. 일반적으로 탐색연구부터 동물실험을 거쳐 임상 후보물질을 도출하는 R단계 연구에 평균 8~10년이 소요되는데 C&C신약연구소의 성과는 이례적이라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