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재해보험 손해율 95.6%…최근 5년 중 '최고'
보험개발원, 이번 달 가축재해보험 통계시스템 구축
늘어나는 폭염에 피해 급증…"적절히 보험 활용해야"
소와 돼지, 가금류 등을 대상으로 판매되는 가축재해보험의 지난해 손해율이 10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폭염이 잦아지면서 양돈·양계농자의 적절한 보험 활용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보험개발원은 이번 달 일반손해보험 활성화 지원의 일환으로 가축재해보험 통계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가축재해 사고를 특약별, 축종별, 지역별로 세분화해 분석·발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가축재해보험의 지난해 손해율은 95.6%로 최근 5년 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보험료 비중이 가장 높은 축종인 소의 경우 72.9%로 양호한 실적을 보인 반면 닭과 오리 등 가금류의 손해율은 227.3%까지 치솟았다.
이 같은 손해율 악화는 지난해 기록적 폭염으로 인해 돼지와 가금류의 폐사가 급증한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실제 2016년 평균 폭염일수는 22.4일로 최근 10년 사이 최고 수준을 보였다.
이에 따라 폭염재해보장특약의 손해율은 1609%로 급등했다. 이는 보험사가 수령한 보험료의 16배를 보험금으로 지급했다는 의미다.
축종별로 보면 닭의 폭염특약 손해율이 2168%로 가장 높았고, 오리(1925%)와 기타 가금(1484%), 돼지(100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남부지역의 손해율이 2060%로 중부지역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집계됐다.
보험개발원은 최근 폭염특보가 지속되는 등 여름철 폭염에 대비한 양돈, 양계농가의 적절한 보험가입이 필요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가금류 계약의 폭염특약 추가가입 비율은 89.8%로 양계농가는 폭염손해에 대비해 가축재해보험을 적절히 활용한 것으로 분석됐다"며 "반면 돼지의 경우 폭염특약 추가가입 비율이 49.1%로 낮아 양돈농가는 올여름 폭염에 대비한 축사개선과 함께 보험가입에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말했다.
한편, 가축재해보험은 정부가 보험료의 50%를 지원하는 정책성 보험으로 소와 돼지, 닭 등 16종 가축과 축사시설물에 대한 보험가입이 가능하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