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금리 인하에 P2P 연체율 관리 '초비상'
최고금리 하락시 연체금리 동반하락으로 수익률 악화
우량차주 위주로 포트폴리오 개편하면 투자자 외면
시중금리 상승해 저축은행 등보다 경쟁력 뒤쳐질 것
새 정부의 법정 최고금리 단계적 인하 방침으로 개인신용대출에 주력하는 P2P업체들의 연체율 관리에 초비상이 걸릴 태세다. 최고금리가 내려가게 되면 연체금리도 동반 하락하는 만큼 부담이 적어진 차주가 제때 돈을 갚지 않아 자연스레 연체율이 올라갈 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P2P가 우량차주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밖에 없게 되면서 투자자들의 외면을 초래하는 '실적 악순환 구조'가 업계 경쟁력을 후퇴시킬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8퍼센트·렌딧·빌리 등 개인신용대출에 주력하는 P2P대출 업체들의 연체금리는 최대 27.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리를 표방하는 이들 업체는 평균 7~18% 금리로 대출을 실행하고 있지만 차주가 하루라도 연체하면 금리가 법정최고금리까지 급등하는 것이다.
문제는 정부가 올해 최고금리를 25%로 인하하는데 이어 2021년까지 20% 수준으로 낮추겠다고 밝히면서 차주가 연체하면 지불해야하는 연체금리 상한도 20%로 낮아져 수익성 악화를 피할 수 없게 됐다는 점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연체금리가 20%까지 떨어지면 P2P업체들은 연체율이 높은 중·저신용자 대출을 줄이고 신용등급이 높은 우량 차주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새로 구성해야 할 것”이라며 “이 경우 투자 수익률이 떨어져 투자자들의 외면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도 리스크가 큰 신용대출상품보다 안전하고 수익률이 높은 부동산 담보에 투자금이 몰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부동산 담보 대출상품이 10%중후반의 수익률을 제시하고 있는데 반해 8퍼센트의 개인신용대출 상품의 경우 수익률이 3.66%로 책정되기도 했다.
해당 업체들은 저신용자의 비중이 낮아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렌딧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10% 가량의 중금리 대출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시중금리가 상승 추세에 있어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예·적금 금리가 올라가면 개인신용대출을 주로 취급하는 P2P대출 업체의 경쟁력이 하락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P2P 투자의 경우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저축은행 등 보다 높은 수준의 수익률을 제시해야만 투자를 할 것”이라며 “시중 금리가 올라가고 P2P 수익률이 낮아지면 2금융권을 비롯한 제도권 금융이 유리하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