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대 폈다 접은 카타르, 한국 축구의 현실
카타르와의 원정경기서 굴욕적인 3실점패
뻥 뚫린 수비, 카타르 공격수들 의욕적 플레이
수준 낮은 한국 축구를 상대로 ‘침대’를 펼 이유는 없었다.
슈틸리케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4일(이하 한국시각) 카타르 도하에 위치한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예선' A조 8차전 카타르와의 원정 경기에서 2-3 패했다.
이로써 승점 추가에 실패한 한국(승점 13)은 전날 이란에 패한 우즈베키스탄(승점 12)과의 격차를 유지하며 A조 2위 자리를 지켰다.
경기 전 승리를 얻기 위한 슈틸리케 감독의 의지는 남달랐다. 그도 그럴 것이 대표팀은 이번 최종 예선을 치르며 아직까지 원정 승리가 없다. 중립 지역에서 펼쳐진 시리아와의 원정서 0-0으로 비긴 뒤 이란전과 중국전에서는 0-1패했다.
여기에 최근 열린 이라크와의 평가전에서 유효 슈팅을 단 하나도 기록하지 못할 정도로 경기력 면에서도 만족감을 주지 못하고 있어 부담이 상당했던 슈틸리케호다.
하지만 카타르전에서도 상황은 썩 나아지지 않았다. 이날 경기는 2골을 넣으며 그나마 선전한 공격진과 중앙 힘 싸움 의지를 잃은 중원, 그리고 뻥 뚫린 수비진으로 압축된다.
특히 곽태휘를 중심으로 한 수비진은 그야말로 ‘괴멸’에 이르렀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최악의 경기력을 선보였다.
대표팀은 전반 24분, 프리킥 골을 허용했다. 수비벽을 절묘하게 넘은 공은 권순태 골키퍼가 반응할 수 없을 정도로 날카로웠다. 하지만 프리킥을 내주기 전 어이없는 볼 처리로 상대에 기회를 제공한 곽태휘의 수비가 아쉬웠다.
맏형 곽태휘의 실수는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곽태휘는 기성용, 황희찬의 연속골로 2-2 동점을 만든 후반 28분 다시 한 번 치명적인 구멍을 만들었다. 상대 선수와의 1대1 마크 상황에서 공간을 내줬고, 뒤늦게 쫓아갔지만 실점을 막을 수 없었다. 위치 선정이 아쉬운 대목이었다.
한국 축구의 굴욕은 카타르 선수들의 자세에서도 읽을 수 있다. 그동안 아시아 내에서만큼은 최강자 위치에 있던 한국이기에 상대 입장에서는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중동권 국가들은 한국과 마주할 때 일명 ‘침대 축구’로 맞서곤 했다. 침대 축구란 선취골을 얻어냈을 경우, 남은 시간에 상관없이 그라운드에 드러누워 시간을 끄는 전술을 말한다.
그러나 카타르는 저조한 경기력의 한국을 상대로 침대를 폈다 다시 접었다. 실제로 카타르는 2-2 동점을 내준 직후 일부 선수들이 뜻모를 고통을 호소하는 등 고의적인 시간 지연작전을 펼쳤다.
이후 알 하이도스의 결승골이 터지자 잔뜩 고무된 카타르 공격수들이다. 카타르 선수들은 사실상 뻥 뚫린 한국 수비를 상대로 오히려 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고, 몇 차례 간담을 서늘케 하는 장면이 나오기도 했다. 한국 축구가 얼마나 쉬워 보이는지 그대로 드러난 장면이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