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미세먼지 기승…지역별·배출원별 미세먼지 영향분석 결과는?


입력 2017.04.27 16:49 수정 2017.04.27 16:50        박진여 기자

평상시·고농도 상승시 배출원별·지역별 기여도 분석

"2년 주기 연구 정례화…연구결과 기초로 대기질 개선 종합대책 수립"

매년 봄만 되면 심해지는 미세먼지와 황사가 올해 더욱 기승을 부리면서 시민의 불안감이 증폭되는 가운데, 서울시가 그동안 추진해온 미세먼지 저감대책 연구결과를 발표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평상시·고농도 상승시 배출원별·지역별 기여도 분석
"2년 주기 연구 정례화…연구결과 기초로 대기질 개선 종합대책 수립"


매년 봄만 되면 심해지는 미세먼지와 황사가 올해 더욱 기승을 부리면서 시민의 불안감이 증폭되는 가운데, 서울시가 그동안 추진해온 미세먼지 저감대책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동안 중앙정부와 지자체, 유관기관의 노력에도 미세먼지 농도가 연일 '나쁨' 수준을 기록하면서 서울시는 이에 대한 원인과 적정한 대책마련을 위해 지난 1년 7개월 동안 '초미세먼지(PM-2.5) 배출원 인벤토리 구축 및 상시모니터링'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를 총괄 수행한 서울연구원은 △평상시 지역별·배출원별 기여도 업그레이드 △고농도 사례일의 기여도 신규추가 △기여도 분석결과에 따른 서울시 대기질 개선 정책방향 제시 등의 내용을 종합해 보고서를 완성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평상시에 대비해 미세먼지 고농도 상승시 영향을 비교했으며,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됐던 2015년 10월 19일~22일 4일간 미치는 영향을 새롭게 분석했다.

미세먼지 고농도시 배출원별 기여도를 보면, 평상시 대비 교통부문의 영향이 4%p 증가(37→41%)하고 난방·발전부문 영향이 6%p 감소(39→33%), 비산먼지부문 영향은 1%p 증가(22→23%)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 고농도 상승시 교통부문을 우선 관리하고, 난방·발전 그리고 비산먼지 순으로 저감조치를 시행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지역별 기여도를 보면 평상시에 비해 국외영향이 17%p 증가(55→72%)증가한 반면 국내외 타지역 영향은 11%p 감소(23→12%), 서울자체영향도 6%p 감소(22→16%)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의 도심지역과 허베이성 및 산둥성 등 공업지역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가 장거리 이동인 것으로 보고있으며, 그중 중국지역의 산업배출에 의한 영향이 34%, 에너지산업 배출영향이 1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발견됐다.

매년 봄만 되면 심해지는 미세먼지와 황사가 올해 더욱 기승을 부리면서 시민의 불안감이 증폭되는 가운데, 서울시가 그동안 추진해온 미세먼지 저감대책 연구결과를 발표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평상시 수준에서 배출원별 기여도 분석결과, 교통부문은 15%p 감소(52→37%)한 반면 난방·발전 부문은 12%p 증가(27→39%), 비산먼지 부문 역시 10%p 증가(12→22%)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기여도 분석 결과에서는 국내 배출량 자료가 감소한 반면 중국 및 아시아 배출량 자료의 오염물질이 전반적으로 증가했고, 2011년과 2015~2016년 기상조건의 변동도 원인으로 분석된다.

앞서 관련 연구는 2011년에도 진행된 바 있다. 당시 평상시 수준과 비교해 전년도 조사 결과에서 중국 등 국외영향이 6%p 증가(49→55%)하고 수도권 지역 영향은 6%p 감소(18→12%)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 특히 교통부문의 오염물질별 발암 위해성과 관련해 배출기여도가 높아 시민 건강보호를 위한 지속적인 관리대책이 이뤄져야 한다는 결론이다. 이에 경유를 원료로 하는 자동차와 건설기계의 지속적인 관리가 바람직하다는 판단이다.

황보연 기후환경본부장은 "금번 연구결과를 기초로 대기질 개선 종합대책을 수립할 예정"이라며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유지하고 2년 주기의 연구를 정례화해 위해성 기반의 관리체계를 마련, 미세먼지로부터 서울시민 건강보호에 만전을 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시는 초미세먼지 안심관리를 위해 대기오염 통합관리, 건강위해성 예방, 지역 간 협력, 전방위 맞춤관리 등 4개 기본방향을 분류하고 있다. 구체적 이행 대책으로 △측정자료 구축과 모니터링 △배출량 자료개선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 △환경복지·환경자치 선도 시범사업 실시 △협력체계 구성·운용 △미디어 거버넌스 구축 등 6개 실행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