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인용시, 발등에 불 떨어진 대선출마 지자체장들
與 '경선 준비에 시간이 부족해'
野 '자리를 너무 오래 비웠어'
헌법재판소가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기일을 오는 10일 오전 11시로 지정한 가운데, 9일 대선 출마 의지가 있는 여야 지방자치단체장들은 제각기 다른 이유로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자유한국당 소속 지자체장들이 가장 분주하게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 공직자가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서는 오는 4월 9일까지 사직해야 하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의 경우 헌재에서 박 대통령의 탄핵안이 기각될 것을 희망하면서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관련 일정을 탄핵심판 뒤로 미뤄왔다.
하지만 헌재가 탄핵안을 인용할 경우 자유한국당이 경선 규모와 룰을 대폭 축소하고 간소화한다고 하더라도 지자체장으로서는 무리가 따를 전망이다.
야당과 달리 출마선언조차 하지 않았고, 홍보와 공약·정책, 정치적 비전, 조직정비 등 제대로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한 달도 안 되는 시간 동안에 당원과 국민들에게 호소해야 하는 선택을 받아야 하는 것이다.
현재 대권 도전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 자유한국당 소속 지자체장은 가장 활발하게 활동 중인 홍준표 경남도지사를 필두로 김관용 경북도지사, 김기현 울산시장 등이 있다.
이들의 경우 4월 초로 예상되는 1차 커트라인을 통과하기 위해 20여일간 도·시정과 경선을 병행하면서 역량과 비전을 보여줘야 한다.
반면 대선출마 선언을 한 야당 소속 지자체장들도 부담이 적은 것은 아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촛불집회와 지역순회에 이어 당내 경선을 치르기 위해 지자체장들이 자리를 자주 비우면서다.
일각에서는 이들을 두고 도·시정을 내팽개치고 자신들의 대권욕심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비판하고 있다. 일부지역에서는 시민단체가 이런 지자체장의 모습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지자체장들은 선출직공무원으로 ‘지방공무원법’의 적용을 받는다. 이 때문에 행정자치부의 ‘지방공무원 복무규정’을 지켜야한다. 야당 소속으로 대선 출마를 밝힌 지자체장은 더불어민주당의 안희정 충남도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 최성 고양시장, 바른정당에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있다.
안 지사의 경우 지난 2월 한달 동안 6일만 도청을 포함한 충남 관내에서 업무를 처리했다. 그리고 4번의 연가와 14번 출장을 신청해 자리를 비웠다. 이 시장은 올해에 사용한 연가 일수는 7일 정도이다. 남 지사의 경우 대선 활동으로 ‘도정공백’을 막기 위해 ‘민생도정협의회’를 지난 6일 출범시켰다.
이들의 시·도청의 비서실들은 업무보고와 전자결재 등이 전과 비교했을 때 차이가 없거나 법적으로 주어진 연가 등을 사용해 법적인 하등의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시·도정 공백에 대한 비판도 적지 않다.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의 경우 지난 2012년 당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에 참여하기 위해 도정을 내팽개쳤다는 비판을 받으며 도의회와 시민단체들로부터 질타와 비난을 받았었다.
어느 지자체장이 당 후보로 선출돼 본선에 올라 웃고, 또 어느 지자체장이 비판을 받으며 쓸쓸한 뒷모습으로 시·도정에 복귀할지 주목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