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국내 최초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 건립키로
3.1운동 100주년…현 서대문구의회 자리에 2019년 개관 목표
국가유공자 예우 강화 및 올바른 역사 의식 함양 시민 행사 추진
국가유공자 예우 강화 및 올바른 역사 의식 함양 시민 행사 추진
박원순 시장 "시민들이 일상에서 3.1운동 정신 기억할 수 있도록"
국내 최초·유일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이 서울에 들어선다. 중국 상하이 등 외국에는 있지만 정작 우리나라에는 없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을 3.1운동 100주년이자 대한민국 건국 100주년인 오는 2019년 개관 예정이다.
서울시는 국가보훈처와 협력해 현 서대문구의회 자리에 2019년 개관을 목표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을 건립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일상 속에서 역사를 느끼고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토대로 임시정부 기념관 건립과 비슷한 시기 복원을 마치는 딜쿠샤를 비롯해 독립문, 구 서대문형무소 등 일대 명소를 연결하는 '독립운동 유적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3.1운동의 도화선이 됐던 2.8독립선언 기념일이기도한 이날 구(舊) 서대문 형무소에서 이 같은 내용의 3.1운동 100주년 맞이 서울시 기념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박 시장은 이 자리에서 정작 우리나라에는 없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이 제대로 된 위상을 갖춰 3.1운동 100주년이 되는 2019년 개관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주도적인 지원을 강력히 촉구하며 시민들의 뜨거운 성원을 요청했다.
시가 주도하는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은 약 3년에 걸쳐 △독립운동 기념시설 조성 △시민참여 행사 및 교육 △독립유공자 예우 강화 등 올해 3대 분야 총 17개 사업으로 추진된다. 첫해인 올해는 총 112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우선 2019년 조성을 목표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 △안국역 항일 독립운동 테마역사 △독립운동가 추모 전시관 '만인보(萬人譜)'의 방 설치 △삼일대로 일대 '3.1운동 대표가로' △딜쿠샤 복원 △남산 예장자락 일대 '역사탐방로' 등 독립운동과 관련된 6대 역사·문화 랜드마크를 조성한다.
또한 시민과 학생 1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지난 100년의 역사를 바로알기 위한 '대한민국 100년 뿌리알기', '바른역사 아카데미', '서울시민 독립군 학교' 등 다양한 무료 교육·체험 프로그램도 연중 운영한다.
이 같은 기념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33인의 전문가를 '기념사업 운영위원회' 위원으로 위촉해 자문을 요청하고, 기념사업 전 과정에 참여·활동하게 될 310인의 '시민위원회'를 오는 3월 공개모집한다.
아울러 나라를 위해 헌신했지만 현재 어렵게 생활하고 있는 국가유공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매년 74억 원을 추가 투입해 생활보조수당을 신설하고 보훈단체에 대한 지원도 대폭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독립운동가 자손에 대한 지원도 확대한다. 서울시립대 등록금 전액 면제 대상도 기존 2대손에서 5대손까지 확대하고, 후손이 없어 방치돼 있는 독립유공자 묘지를 발굴해 지원한다.
한편, 서울시는 2015년 광복70주년 기념사업을 시민과 함께 추진한 바 있으며, 2012년 전국 최초로 보훈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서울시 독립유공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서울시 일제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 조례' 등을 통과시켰다.
박원순 시장은 "일제의 폭압에 핍박받던 1919년 물줄기와 같은 우리 민족의 모든 가치들이 차곡차곡 쌓여 3.1운동이라는 역사의 저수지를 통해 분출됐고, 이 물줄기는 다시 민주주의, 세계평화, 협치라는 근현대사의 중요한 가치로 퍼져나갔다"며 "시민들이 3.1운동의 정신을 기억하고 일상의 삶에서 그 정신을 되살려내 새로운 대한민국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서울시가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