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첫 '여성' 대통령 탄생 관심사
'국정원 여직원 사건' 곤혹…'이정희 발언' 역지원 받아
대한민국 정치의 최정점이자 국가 수반을 선출하는 대통령 선거가 2017년 정유년에 치러진다. 현직 대통령의 탄핵 문제와 연관돼 '조기대선'이 유력해진 가운데 제19대 대통령 선거는 온 국민의 최대 관심사이자 '초대형 정치 이벤트'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서 치러진 역대 대통령 선거 가운데 지난 2002년 노무현 대통령을 탄생시킨 제16대 대선을 시작으로 2007년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된 제17대 대선, 2012년 현 박근혜 대통령 당선까지 3개 대선에서 드라마틱한 사건들에 대해 당선자 중심으로 짚어본다. 많은 변수가 쉴 새 없이 등장하는 대선 과정은 예나 지금이나 지켜보는 유권자와 출마후보 본인 등 누구에게나 많은 점을 시사하고 있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첫 '여성' 대통령 탄생 관심사
2007년 제17대 대통령선거 후보 경선에서 이명박 후보에게 패했던 박근혜 후보는 다시 2012년 7월 10일 선거 캠프 이름을 '국민행복캠프'로 정하고 제18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한다.
당시 소속당이던 새누리당에서 큰 경쟁자 없이 강력한 위용을 나타낸 박근혜 후보는 같은 해 8월 20일 열린 당 전당대회에서 90% 가까운 득표율(83.97%)을 얻어 대선에 나설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로 공식 선출됐다.
대한민국 정당 역사상 유력 정당의 첫 여성 후보이자 전직 대통령의 자녀가 대선 후보가 되는 첫 사례이기도 했다. 박근혜 후보는 캐치프레이즈로 '준비된 여성대통령'을 내세웠다.
박근혜 후보는 대선행보 과정에서 '대선 패배시 정계 은퇴'를 내걸며 마지막 정치활동에 대한 뜻을 알리는 데 주력했다. 안철수 전 후보가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 지지 활동을 하면서 어려움도 겪었지만 보수층을 비롯해 장년층 이상에서 탄탄한 지지를 받은 박근혜 후보는 대선 기간 내내 거의 모든 여론 조사에서 선두를 놓치지 않았다.
대선 투표 8일을 앞둔 시점에서 선거 판도에 민감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국정원 여직원' 사건이 일어났다. 당시 민주통합당은 2012년 12월 11일 국가정보원 소속 직원들이 인터넷에 게시글을 남겨서 선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내용을 공개했다.
이어 국정원 여직원의 오피스텔 앞에 민주통합당 의원 등이 찾아가 대치하는 과정 등을 겪으면서 큰 주목을 받았으며, 국가 기관이 여론 조작에 앞장선 것에 대한 비판과 경찰이 사건을 은폐하는 허위의 발표를 한 것 등이 논란이 됐다.
'국정원 여직원 사건' 곤혹…'이정희 발언' 역지원 받아
이때 대선과정에서 눈길을 끈 또 다른 사안은 'TV 토론회'였다. 박근혜 후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최로 진행된 대선 후보자 TV토론회에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 이정희 통합진보당 후보와 함께 참석했다.
당시 이정희 통진당 후보는 '박근혜 후보를 떨어뜨리러 나왔다'는 등의 발언을 통해 박근혜 후보에 대해 강하게 공격했는데, 이 부분이 오히려 보수층을 결집시키고 야권에 대한 지지를 반감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박근혜 후보는 2012년 12월 19일 대선에서 51.65%의 지지율로 48.0%에 그친 문재인 후보를 꺾고 마침내 제18대 대통령으로 당선된다.
아버지 박정희 대통령에 이어 '부녀 대통령'이 탄생한 순간이자 지난 1979년 아버지가 총탄에 숨진 '10.26 사건' 이후 30여년 만에 청와대 재입성을 약속받는 순간이기도 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