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4Q 부진탈피 해법찾기 '깜깜'
하반기도 힘들다...B2C 편중 포트폴리오 취약 여전
하반기도 힘들다...B2C 편중 포트폴리오 취약 여전
스마트폰 부진 지속과 가전 수익성 감소로 3분기 실적이 크게 악화된 LG전자가 4분기에도 부진 탈피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포트폴리오의 취약성이 다시 한 번 크게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7일 관련업계와 증권가에 따르면 LG전자는 4분기 스마트폰이 적자를 지속하는 가운데 TV와 생활가전 등도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하반기 실적 개선에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지난해 2분기부터 올 3분기까지 6분기째 적자를 지속한 모바일커뮤니케이션즈(MC)사업본부는 4분기에도 적자 탈피는 어려울 전망이다.
지난달 말 출시한 V20의 성적표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보이지만 G5 비해서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데다 경쟁 제품인 갤럭시노트7과 아이폰7에 비해 큰 차별화가 없어 상황 반전을 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다만 V20 판매 효과로 적자 규모는 다소 줄어들어 3분기 2000억원을 웃돌았던 적자 폭은 1000억원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유일한 실적 버팀목이었던 가전 부문 수익성이 추가로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4분기 연말 쇼핑 시즌으로 마케팅 비용 증가와 시장 경쟁 심화로 TV와 가전이 각각 주력인 홈엔터테인먼트(HE)사업본부와 홈어플라이언스앤에어솔루션(H&A)사업본부의 수익성이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추가 하락할 전망이다.
또 TV의 경우,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가격 상승이 연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이고 가전에서는 3분기 반영된 에어컨 실적이 빠지는 것도 실적에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3분기 2000억원 중후반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양 사업본부가 4분기에는 2000억원 전후로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사업본부의 하반기 영업이익이 5000억원에 못 미치면서 상반기(H&A 8415억원·HE 6919억원)에 비해 수익성이 크게 악화될 전망이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4분기도 3분기와 비슷한 실적 양상을 보일 것”이라며 “특히 가전부문에서 마케팅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수익성이 하락할 것으로 보여 스마트폰에서의 적자 폭 감소 효과가 상당부분 상쇄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때문에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LG전자의 취약한 사업 포트폴리오가 다시 한 번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MC·HE·H&A 모두 기업소비자간거래(B2C)사업으로 IT경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약점이 그대로 노출될 전망이다. 유일한 기업간거래(B2)사업인 자동차부품(VC)사업본부는 아직 사업초기 단계여서 매출이 미미에 전체 실적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지 않다.
김영우 SK증권 수석연구위원은 “LG전자의 경우, 4분기 각 사업부별 사업 환경이 녹록치 않은데다 개선을 기대할 만한 요인도 없어 힘든 하반기를 보내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