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9번째 북 미사일 규탄 유엔성명, '신속·만장일치' 채택
외교부 "중·러 동참한 언론성명…북의 안보리 결의 위반에 대한 강력 경고"
외교부 "중·러 동참한 언론성명…북의 안보리 결의 위반에 대한 강력 경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이 지난 5일 시험 발사한 탄도미사일 3발에 대한 규탄 언론성명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유엔 안보리는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한 직후인 6일(현지시간) 긴급회의를 열고 바로 대북 규탄 성명을 채택하는 등 신속하게 대응했다. 특히 중국과 러시아도 이번 대북 규탄성명에 합의하면서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북메시지를 전달하는데 힘을 보탰다.
지난 8월, 중국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사드) 배치와 관련 한·미와 신경전을 벌이면서 북한의 이어진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와 관련한 유엔차원의 대북규탄 언론성명 채택에 대해 동의하지 않은 바 있다. 당시 유엔 안보리는 침묵절차(의사를 밝히지 않으면 동의한 것으로 간주하는 절차)를 통해 규탄 언론성명을 채택하려했지만 중국이 마지막 순간 반대입장을 보여 대북 규탄 언론성명 채택이 무산된 바 있다.
지난달 26일 북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에 대한 유안안보리 규탄 언론성명에 이어 올해만 9번째 채택된 언론성명은 "북 주민의 욕구는 충족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북한이 자원을 탄도미사일 개발에 활용하는 데 유감"이라며 "계속되는 미사일 발사 활동 등이 북의 핵무기 운반 체계를 발전시키고 역내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외교부는 7일 유엔 안보리 대북규탄 언론성명 채택 입장을 통해 "중국과 러시아 모두 동참한 이번 언론성명은 북한이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면서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을 지속하는데 대해 강력 경고한 것"이라면서 "국제사회가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함으로써 북한의 잘못된 셈법을 바꾸어 나가도록 안보리가 단합된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어 외교부는 "정부는 안보리가 북한의 금번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신속히 규탄입장을 발표한 것을 환영하며 앞으로도 국제사회와 긴밀한 공조하에 안보래 대북 제재 결의의 충실한 이행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경주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