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놈 목소리' 이후 진화된 보이스피싱 '주의'
금융당국 제도개선 내용 악용, 구직자 이용 대포통장 자금인출 유도
저금리 정부지원자금 대출 미끼로 고금리 대출 후 편취 등 수법 지능화
#자영업자 A씨는 미소금융재단을 사칭하는 사기범으로부터 대출이 가능하다는 전화를 받고 사업자등록증, 최근 통장거래내역, 주민등록증 등을 사기범에게 송부했는데 금융질서문란자로 등록됐기 때문에 3개월 후 통장거래가 정지되니 이를 해제하려면 대출금 1000만원의 41%인 410만원을 입금할 것을 요구했다.
#사기범은 구직자 B씨에게 자동차 수출업을 하는 무역회사를 빙자해 차량 딜러직으로 채용시켜 준다고 거짓으로 접근, 차량구매금액 전액을 회사에서 지원해줄테니 차량을 구매해 회사로 명의이전하면 차량 수출 마진수익 명목으로 200만원을 지급하겠다고 제안했다. 이후 B씨는 보이스피싱 피해자로부터 자신의 계좌로 3500만원을 입금받았다.
'그놈 목소리' 공개 이후 금융소비자의 면역력이 강화되면서 신종 수법이 대거 출현하는 등 보이스피싱이 진화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금융당국의 제도개선 내용을 범죄에 악용, 대포통장 확보 및 자금인출이 어려워지자 구직자를 이용해 자금인출을 유도, 저금리로 정부지원자금 대출을 받게 해준다며 고금리대출을 받게 한 후 편취 등 신종 보이스피싱 사례가 늘고 있다.
우선 금융당국의 최근 제도 개선 내용을 범죄에 역이용하는 등 금융사기 수법이 갈수록 지능화되고 있다.
신용정보 과다조회로 인해 '금융질서문란행위자'로 등록돼 금융거래가 정지된다고 기만하면서 해제 비용을 요구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또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 접속하면 금감원을 사칭 '민생침해 5대 금융악을 척결하기 위한 특별대책' 문구를 사용하는 팝업을 띄워 '파밍(Pharming)' 사기를 유도하기도 한다.
아울러 대포통장 확보가 어려워지고 지연인출제도 등으로 자금 인출이 쉽지 않자 구직자를 기면해 구직자로 하여금 자금인출을 유도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이와 함게 저금리로 정부지원자금 대출을 받게 해준다며 대출금을 편취하는 사례도 있다. 저금리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고금리 대출기록이 있어야 한다며 대부업체 등에서 고금리 대출을 받게 한 후 법무용 납입증명서를 발급해준다는 명목으로 대출금을 사기범이 확보한 대포통장으로 입금하게 해 이를 편취하는 수법이다.
이외에도 자산관리공사에서 저금리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우선 저축은행 및 대부업체에서 고금리 대출을 받아 신용도를 낮춘 후 대환해야 한다면 고금리대출을 받게 한 후 대환대출을 빙자해 대포통장으로 입금하게 해 이를 편취하게 하는 사례도 있다.
금감원은 금융당국의 제도개선 내용에 대해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고 출처불명의 자금을 대신 인출, 이체해주는 행위는 범죄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라 형사처벌을 받을 소지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