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준호 사장 “G5, LG만의 독창성 담아”
"제품 차별화만이 살길…출시 본격화되는 2분기 흑자전환 기대"
VR 대중화 위해서는 어지럼증 해소와 무게 감소가 관건
“G5는 독창성을 담은 제품이다. 현재의 강한 양강구도에서 소비자들에게 의미있는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독특한 제품이다. '굉장히 좋다'는 팬덤 구축을 통해 프리미엄 시장에서 확실히 자리 잡아나가겠다.”
조준호 LG전자 MC사업본부장(사장)은 23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 소피아호텔에서 개최된 기자간담회에서 이번에 공개한 전략 스마트폰 G5가 '착탈식 모듈' 이라는 다소 파격적인 형태를 취한 이유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LG전자는 지난 21일 사상 처음으로 전략 스마트폰을 전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6' 기간에 공개했다. 여기에 착탈식 모듈 형태로 파격을 꾀하면서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 날 공개된 G5는 밑부분을 통해 모듈을 빼낼 수 있는 형태로 구성, 카메라와 오디오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모듈을 끼워서 소비자가 원하는 기능을 자유자재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조 사장은 확장형 모듈의 형태가 철저하게 수립된 전략이 아닌, 소비자들이 원하는 배터리 교체형 제품을 구상하다가 갑자기 떠오른 아이디어에 의해 구현된 것임을 강조했다. 착탈식 배터리를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고민을 하다가 결국 모듈 형태라는 방식을 취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스마트폰 바디를 예전 플라스틱이 아닌, 풀 메탈로 적용하면서 기존의 뒷면을 떼내는 방식이 불가능해졌다”며 “이에 따라 착탈식배터리를 하려면 아래 또는 옆쪽으로 빼는 것이 대안이었는데 아래쪽으로 빼는 것으로 결정한 뒤 배터리 말고 다른 것을 끼워보면 어떨까 하는데까지 생각이 미치게 됐다”고 설명했다.
조 사장은 이러한 파격을 취한 데는 LG전자가 시장의 양강인 애플과 삼성전자의 제품을 따라가는 방식으로는 더 이상 경쟁력을 가질 수 없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격자 입장에서 타사 제품과의 스펙이나 가격 경쟁은 의미가 없고 확연히 다른 독창적인 제품으로 차별화를 꾀해야만 한다는 결론에 이르러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번 G5 개발 과정에서)우리 만의 길을 가려고 마음 먹은 상황이었다”며 “이번 행사 기간에 출시된 경쟁사들의 제품이 우리와 가는 길이 다른 것을 보면서 사실 안도했다”고도 했다.
조 사장은 V10의 기대 이상의 성과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G5가 가세하면 상반기 내 모바일부문 흑자 전환도 가능할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상했다.
그는 “기대에 못 미쳤던 G4와 달리 지난해 10월 대화면 폰 컨셉으로 출시한 V10은 한국·미국·홍콩 등에서 기대 이사의 성과를 보였다”며 “G5의 출시 효과가 본격화하는 오는 2분기에는 흑자전환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MWC 행사에서 가장 뜨거운 호응을 받은 가상현실(VR)의 성장 잠재력을 인정하면서도 아직 개선해야 할점들이 있다고 지적했다. LG전자는 G5 출시와 함께 주변기기로 내놓은 8종의 프렌즈에서 VR 기기 'LG 360 VR'와 360도 영상 촬영 카메라 'LG 360 캠'을 선보이며 VR 시장 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조 사장은 “몇 년전부터 회자되기 시작한 VR은 어지럼증과 무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VR기기에서 고객들 돌렸을 때 화면이 못 따라가면서 어지러움을 유발하고 머리보다 무거운 무게로 착용이 불편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 제품의 무게가 118g 인데 VR기기가 대중화하려면 무게는 60~70g까지 내려가야 한다”며 “디스플레이와 소프트웨어 기술도 좀 더 개선되면 사람들의 실생활에 들어 올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