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무 LG 회장, 마곡 사이언스파크 현장 점검
4조원 투자…2만5000명 일하는 'R&D 메카'로 조성
구본무 회장이 LG그룹 연구개발(R&D)의 새로운 심장이 될 마곡 사이언스파크 건설 현장을 점검했다.
구본무 회장은 지난 16일 서울 강서구 마곡산업단지에 위치한 LG사이언스파크건설 현장을 찾아 임직원과 근로자를 격려하고, 건설 진행 현황 등을 보고받은 후 공사 부지를 돌아보며 현장을 세심하게 살폈다.
구 회장은 "마곡 사이언스파크는 LG의 미래가 달린 중요한 현장"이라며 "최선을 다해 마무리도 끝까지 잘해야 하고 특히 안전과 품질에 대해 철저히 하라"고 당부했다.
LG는 LG사이언스파크를 2017년 1단계 준공 후 2020년 최종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토목공사를 대부분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연구동 건축공사에 들어간 상태다. 4조원을 투자해 국내 최대 규모의 융복합 R&D단지로 조성할 예정이다.
LG사이언스파크는 축구장 24개 크기인 17만여㎡(약 5만3000평) 부지에, 연면적 111만여㎡(약 33만5000평) 규모로 연구시설만 18개 동이 들어선다.
전자·화학·통신 등 주력사업과 에너지·자동차 부품 등 신성장사업 분야 2만5000여명의 연구인력들이 여기서 일하게 된다. 융복합 연구와 핵심·원천기술 개발을 진행해 시장선도 제품과 차세대 성장엔진을 발굴하는 ‘R&D 메카’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구 회장은 대학원생들을 초청한 자리에서 사이언스파크를 소개하며 "최상의 연구시설과 즐겁게 일하는 분위기를 만들겠다"고 강조하는 등 각별한 애정을 보여왔다.
한편 LG는 사이언스파크를 친환경 에너지 절감형 단지로 만들 예정이다. △모든 연구동 옥상에 고효율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고 △ESS(에너지저장장치)를 통해 냉난방에 활용하는 한편 △조도와 전기 사용량 등을 실시간 관리하는 LED 스마트 조명 △지열을 활용한 냉난방 시스템 에어컨과 로이유리, 페놀릭 폼 단열재 등 에너지 절감형 건축 내외장재도 적용한다.
또 △단지 전체의 공조, 조명을 통합 관리하는 빌딩관리시스템 (BMS)과 △실시간 에너지 사용 현황을 분석해 제어하는 정보통신(ICT) 기반 통합 운영시스템 등을 적용할 계획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