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KT, 인터넷 은행 출사표... “K뱅크 빅데이터 차별화로 승부”


입력 2015.10.29 13:28 수정 2015.10.29 13:29        이호연 기자

생활 속 세컨드 뱅크 지향

기존 4~7 신용등급 2000만명, 10%대 중금리 제공 목표

김인회 KT 인터넷 전문은행 추진 TF장이 지난 28일 KT 광화문 사옥에서 K뱅크의 강점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데일리안 이호연 기자.

KT를 주축으로 한 인터넷 전문은행 ‘K뱅크’가 빅데이터 기반 인프라를 발판삼아 핀테크 시장 공략에 나선다.

KT는 지난 28일 서울 종로 KT광화문빌딩에서 '우리 동네 네오 뱅크, K뱅크'라는 타이틀로 '인터넷 전문은행 관련 스터디'를 진행했다. 이날 KT는 K뱅크 컨소시엄의 광범위한 온오프라인 채널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1호 인터넷 전문은행’ 도전에 대한 각오를 다졌다.

K뱅크는 ICT(KT, 효성ITX, 노틸러스효성, 뱅크웨어글로벌, 포스코ICT, 브리지텍, 모바일리더), 플랫폼·커머스(GS리테일, 얍컴퍼니, 이지웰페어 등), 금융(우리은행, 현대증권, 한화생명), 지급결제·보안(KG이니시스, KG모빌리언스, 다날, 한국정보통신, 인포바인), 핀테크(8퍼센트) 등 다양한 기업이 주주사로 참여하고 있다.

김인회 KT 인터넷 전문은행 추진 TF장(전무)은 “K뱅크는 모두가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핀테크 결제를 지향한다”며 “대단위 기업 대출, 여신을 지양하고 영세 중소상공인이나 개인 모바일 뱅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K뱅크의 강점으로는 △차별화된 빅데이터 역량 및 성공 경험 보유 △빅데이터 분석 성공 경험 △강력한 고객접점(오프라인 채널) 역량 보유 △핀테크/SW 등에서의 전문 역량과 성공 경험을 보유한 기업 대거 참여 등을 꼽았다.

향후 K뱅크가 제공할 모바일 뱅크 서비스의 보안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김인회 전무는 “비대면 인증 서비스의 경우 정부가 요구하는 생체 인증 등을 포함한 5가지 방안 외에도 자체적으로 보안을 강화하는 인증 툴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김 전무는 기존 금융권의 부실 대출, 좀비 기업 대출 리스크를 빅데이터를 통해 극복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K뱅크가 가지고 있는 방대한 빅데이터를 이용하면 해당 리스크를 커버할 수 있다고 본다”며 “은행에서 리스크는 비용으로 연결된다. 리스크를 최소화해 비용 절감으로 이어지도록 할 것”이라고 답했다.

향후 K뱅크는 모바일 중심의 온라인 결제 플랫폼은 물론 편의점, ATM, 공중전화 부스를 이용해 오프라인 고객도 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궁극적으로 현재 고금리 대출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4~7 신용등급에 위치한 2000만명이 10%대 중금리로 대출할 수 있는 뱅크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김 전무는 “SK텔레콤, 카카오를 주축으로 하는 경쟁사 컨소시엄과 비교하면 K뱅크는 보유 데이터양에서 압도적으로 월등하다”며 “우리의 역량을 가지고 비용을 절감, 이를 혜택으로 환원하는 은행이 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호연 기자 (mico9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