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국정화'? '검정체계' 강화? 당신 생각은
여 "국정화 오히려 편향된 시각 개선" vs 야 "검정체계 충분히 개선 가능"
역사교과서의 국정화 문제를 두고 여야 간 ‘국정화’와 ‘검정체계 유지’로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새누리당 측은 현행 교과서 집필진이 소수 인원으로 편향된 역사적 기술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에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 측에서는 8종이 발간되는 현행 역사교과서가 1종으로 축소된다면 학생들에게 정부의 시각에서 바라본 역사를 주입시킬 것이라고 맞서고 있다.
강은희 새누리당 의원은 5일 CBS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에 출연해 “현행 교과서는 집필진이 대략 3명에서 많게는 8명, 아주 소수의 인원으로 만들어지고 있다”면서 “전문성과 경험성도 부족하고 두세명의 역사관에 의해 편향적인 주장이 나올 수 있다. 때문에 주관적 역사관이 과도하게 반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사실 교과서가 지금 고등학교 교과서는 8종인데 얼핏 보면 다양하게 배울 수 있다고 느끼지만 실제 배우는 학생들은 1종 교과서밖에 배울 수 없다”면서 “균형적으로 얘기하는, 공통점으로 배우는 역사교육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특정 1개의 교과서가 한 교사에 의해 선택되면 어떤 편향성이 있든 간에 다양한 시각을 배우는 것이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강 의원은 “선진국들이 국정체계를 하지 않는다고 우리도 그렇게 할 필요가 있는지에는 의문점이 든다”면서 “오히려 국정화를 해서 다양한 사상을 가진 사람들이 인력풀을 형성해서 한 단원, 한단원을 충분하게 토론해서 역사교과서를 만들어주는 것이 오히려 현재 우리 교과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반면 윤관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검정절차를 강화하면 현행 역사교과서의 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역사문제에 대해서 현행 제도가 보완성이 있다면 전문가들이 논의해서 보완하면 되는 것”이라면서 “유신시절 국정체계에서 일방적으로 독재에 대해 미화하려는 그런 사실관계가 기술됐던 적이 있다. 전세계적으로도 선진국에서 국정교과서를 채택한 나라는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집필진의 숫자가 부족하다든가 이런것들은 교육부에서도 작년 국정감사 때 지적됐던 것을 받아들여서 집필기간을 늘리고 집필자를 좀 더 보강하고, 또 심사에 단계를 좀 더 세분화하는 과정으로 보완하려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렇게 해결하는 것이 맞지, 검인정체계의 문제가 있다고 바로 국정교과서로 전환하는 것은 근거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문제가 있는 교과서들이 있다면 계속 수정해 나갈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교과서 A도 나오고, B도 나오고, C도 나와야 이것이 교차비교가 되면서 끊임없이 사실관계의 오류를 줄이고 진실에 접근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