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올해 임단협 쟁점은 기본급 인상 및 통상임금 범위 확대"
주요 200개 기업 여론조사 결과...교섭 전망은 지난해와 비슷
대기업들의 올해 임금·단체협상(임단협)에서는 기본급 인상과 통상임금 범위 확대가 쟁점이 될 전망이다.
12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주요 대기업이 응답한 ‘2015년 임단협 교섭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금년도 노조의 주요 요구 안건은 기본급 인상(49건·40.8%), 정기상여금과 각종 수당 등을 통상임금에 포함(46건·38.3%), 각종 복리후생제도 확대(40건·33.3%) 등으로 나타났다.
올해 교섭 전망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 될 전망이다. 응답기업 200곳 중 80곳(40%)이 '교섭과정이 작년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한 가운데 ‘비교적 원만’(62개사·31.0%), ‘작년보다 어려울 전망’(58개사·29.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임단협에서 통상임금 범위를 재조정한 기업은 116개(58.0%)였으며 범위 재조정으로 통상임금이 전년 대비 증가한 곳은 71개(61.2%), 동일한 곳은 44개(37.9%), 감소한 곳은 1개(0.9%)인 것으로 조사됐다. 통상임금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고 응답한 기업들의 통상임금은 평균 33.0% 인상됐다.
통상임금 ‘소송이 진행 중’이라고 밝힌 기업은 31개(15.5%)였다. 소송 당사자는 ‘재직 근로자와 퇴직자 모두’라는 응답이 16개(51.6%)로 가장 많았으며 ‘재직 근로자’ 10개(32.3%)와 ‘퇴직자’ 5개(16.1%) 등의 순이었다.
임금피크제는 아직 도입 안 된 기업이 112개(56.0%)로 도입 된 기업 88개(44.0%)보다 조금 더 많았다. 도입된 기업의 임금피크제 적용 연령은 평균 56.9세였다.
임금피크제가 도입되지 않은 112개 기업 중 도입 계획이 있는 기업은 42개(37.5%)로 나타났다. 임금피크제 도입 계획이 있는 42개 기업 중 31개(73.8%)는 올해 임단협에서 임금피크제가 도입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철행 전경련 고용복지팀장은 “메르스로 인해 내수가 위축되고 중국 경기침체와 엔저로 수출이 부진을 겪는 등 기업들의 경영 상황이 좋지 않다”며 “임금인상을 자제하고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사가 힘을 모을 때”라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