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재보궐서 무차별 ‘인사 공약’ 뒷수습이...
지명직 최고위원, 예결위원 등 당직 약속 지나치다는 지적도
당직자 "선심성 공약 아닌 진정성 담긴 약속"
4·29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여야 대표 모두 전폭적으로 후보 지원 유세에 나선 가운데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자당 소속 후보들을 위한 인사 공약에 논란이 예상된다.
김 대표는 지난 23일 광주 서구을에 출마한 정승 후보 지원 유세 자리에서 ‘호남 총리론’을 앞장 세우며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이완구 총리가 경질되면 그 자리에 전라도 사람 총리를 시켜주길 부탁드린다”라고 발언했다.
그는 “이정현 최고위원이 총리를 하면 얼마나 잘하겠나. 또 정 후보가 이번 선거에 당선되어 최고위원이 되어서 총리를 한다면 얼마나 일을 잘하겠나”라며 주민들의 환심을 샀다. 만국병인 지역감정을 해소하겠다는 주장이었지만 특정 지역을 언급하는 것 자체가 또 다른 지역감정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소 민감할 수 있는 발언이었다.
김 대표는 또 “정 후보를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의 최고위원과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계수조정소위원으로 임명해 서구 발전을 위해서 공약한 모든 사업을 확실하게 챙기겠다”라고 약속했다.
현재 김무성호의 지도부는 지난해 7월 14일 출범 이후 지금까지 10개월 가깝게 지명직 최고위원 한 자리를 비워 두고 있다. 이 자리에는 그동안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문수 보수혁신특별위원장, 나경원 의원 등 거물급 정치인들이 물망에 올랐지만 그 때마다 김 대표는 “최고위원 한 자리 없어도 아무 문제없다”며 외면한 바 있다.
최고위원은 당내 최고 의사기구인 최고위원회의 일원으로 당에서 추진하는 주요한 현안들은 대부분 최고위원들의 추인을 받아야만 의결된다. 이와 같은 최고위원직의 중요성에 비춰볼 때 이제 갓 정치에 입문하는 정 후보에게 최고위원직을 약속하는 것은 다소 성급하다는 평가다.
김 대표의 인사 공약은 이번 재보선에 출마하는 모든 후보에게 해당됐다.
김 대표는 지난 22일 신상진 후보를 지지하기 위해 성남 중원을 찾아 “신 후보가 당선되면 제일 먼저 올 가을 정기 예산국회 때 여당의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임명하는 건 너무나 당연하다”며 “지난번에 내가 말을 잘못했는데 계수조정소위원장은 예결특위위원장이 하게 돼 있으니 계수조정소위 여당 간사로 임명해서 성남에 예산 폭탄을 때려 붓겠다”고 자신했다.
그는 이에 앞서 19일 성남에서 “신 후보가 당선되면 원하는 당직도 맡고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계수조정소위원장을 맡게 해 예산을 많이 갖고 올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그는 이후 계수조정소위원장을 본인의 의사대로 정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말을 바꿨다. 과도한 선심성 인사 공약에 따른 해프닝이 발생한 것이다.
안상수 후보(인천 서구강화을)에게는 한 술 더 떴다. 지난달 25일 인천시당 핵심당원 연수에 참석해 “안 후보가 당선된 이후 안 의원이 ‘인천 발전을 위해 이 당직을 하고 싶다’고 하면 다 빼앗아서라도 맡길 것을 약속한다”라고 호언장담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안 후보가 당선된 후 당대표를 하겠다고 하면 김 대표가 뭐라고 할 지 궁금해진다’는 농담 섞인 이야기가 오가기도 했다.
서울 관악을에 출마한 오신환 후보를 향해서도 “예결위원으로 선임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고 했고 나아가 “오신환 후보 이름으로 특별법을 만들어 위험한 주거지역에 살고 있는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만들겠다”라고 까지 말했다. 40년이 넘는 낡은 아파트의 재건축을 허용하겠다는 약속이다.
실제로 새누리당은 23일 이군현 사무총장 외 35명 의원의 이름으로 ‘재해위험주거지구 주민의 거주안전확보에 관한 법률안’을 발의했다. 이에 대해 국회 관계자는 당선도 되기 전에 공약을 먼저 지킨 특이한 경우라며 의아해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소장파로 분류되는 한 초선 의원은 “다소 지나친 면이 있다”라고 평가했다. 그는 24일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당대표로서의 권한은 어느 정도 인정해줘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조금 멀리간 것은 있다”라고 밝혔다.
반면, 당내의 한 주요당직자는 “실제로 재보선에서 약속한 공약들이 많은데 그런 것들을 지키려면 그에 맞는 자리를 줘야 하는 것 아니겠나”라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실천 의지에 대해서는 당연한 것이다”라며 “선심성 공약이 아닌 진정성이 담긴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