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정배 "모바일 투표? 일반 당원에 선거권 주는게 먼저"
"모바일 투표 공정성에 대한 검증이 확실시 돼야 한다"
천정배 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24일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차기 전당대회에서 모바일 투표를 재도입하겠다’는 의견을 밝힌 것에 대해 “일반 당원들한테 선거권을 준 다음에 일반 국민들의 참여를 결정해 볼 수 있다”고 사실상 반대의사를 밝혔다.
차기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천 전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해 “모바일 투표도입이라는 것은 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에게 투표권을 주자는 것인데, 우리 당은 아직 당원들조차도 투표권은 주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천 전 의원은 “당비를 내고 활동하는 풀뿌리 권리당원이 수십만명이 있는데 이 중 극히 일부는 몇천명 수준의 대의원만이 투표권을 행사하고 거의 대부분의 당원들은 투표권이 없이 동원 대상으로 전락해 있다”며 “이게 우리 당의 문제고 실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먼저 이 풀뿌리 당원에게 투표권을 줘야 마땅하다”면서 “개인적인 견해로는 당직선거권은 당원만이 가져야 된다고 생각하지만 어쨌든 당원에게 보통선거권이 주어지는 것이 먼저 결정해야 될 절대적인 문제”라고 강조했다.
천 전 의원은 또 “모바일 투표를 도입하려면 그 공정성에 대해서 검증이 확실히 있어야 한다”며 “그동안 경험으로는 과연 개표 결과가 공정한 것인지, 투표의 비밀이 보장 되는지에 대해 사실 의문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새정치연합의 방향에 대해서도 “당원의 보통선거에 의한 결정이 있어야 한다”면서 “당원들이 치열하게 토론을 하되 최종적으로는 국회의원 100여명이 아니고 수십만 풀뿌리 당원들이 직접 투표로 당의 기본 강령과 노선을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천 전 의원은 당내에서 비대위 구성을 두고 ‘계파 나눠먹기’라는 비판이 제기되는 것에 대해 “다 맞는 말이고, 비대위에 대한 당내의 비판을 정당하다”고 동의했다.
그는 다만 “당 위기를 불러온 데 가장 큰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는 계파 기득권의 수장이 스스로 비대위원이 됐기 때문에 이분들이 마음을 비우고 이번 기회에 기득권을 내려놓겠다는 결심만 한다면 실제 쇄신을 이룰 수 있고, 고질적인 계파 패거리 기득권 정치도 청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오히려 당이 현재는 침몰한다고 하면 핵잠수함으로 바뀔 수도 있다”며 “만약 그렇게 안 된다면 이제는 당의 존립조차도 어려워질 것이고 비대위에 참여한 계파 수장들도 국민들로부터 존엄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