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잠잠해지자 고개 든 보이스피싱…정부 합동경보 발령


입력 2014.06.30 16:42 수정 2014.06.30 16:46        김재현 기자

올해 1~5월 보이스피싱 발생건수 전년 동기 대비 335 증가

금융감독원 '보이스피싱 지킴이' 홈페이지 캡쳐 사진

#올해 5월17일 피해자 A씨는 핸드폰을 통해 한통의 전화를 받았다. "서울시 경찰청 금융관리팀 수사관이다. 금융사기 사건이 발생했고 이에 연루된 사람이 180명인데 그중 당신의 통장이 불법자금세탁용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사기범은 "농협과 국민은행 통장이 금융감독위원회에서 불법 자금세탁용으로 확인되고 있으니 이 통장에 대해 명의도용방지신청을 해야 하기 깨문에 사이렌24 사이트'에 들어가서 하나은행, 우리은행 통장 계좌번호, 비밀번호, 보안카드 번호를 입력하라"고 유도했다. 이어 사기범은 다시 A씨에게 전화해 입력한 번호를 확인해본 결과 신용정보가 노출돼 위험하다고 알린 후 "통장의 돈을 금융감독위원회에서 관리하는 계좌로 이체하면 보안등급을 올린 뒤 다시 돈을 당신에게 재입금시키겠다"고 속였다. A씨는 의심없이 사기범에게 계좌이체로 3620만원을 보냈고 나중에 사기당했다는 것을 알게됐다.

잠잠해졌던 보이스피싱이 다시 고개를 치켜세웠다. 정부의 '보이스피싱 피해방지 종합대책' 발표 이후 감소세를 보였던 보이스피싱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사이버 기술형 범죄 차단시스템이 견고해지자 다양한 방식으로 범죄시도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30일 보이스피싱 사기가 확산됨에 따라 전기통신금융사기 방지대책협의회 합동으로 보이스피싱 주의경보를 발령한다고 밝혔다.

이날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1~5월 중 보이스피싱 발생건수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33% 증가했다. 보이스피싱 1건당 평균 피해금액은 1.31배 증가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전문적 기술을 요하는 사이버 기술형 범죄가 차단시스템 구축으로 시도가 어려워지자 다양한 방식의 공격 유형으로 범죄시도를 집중하고 있다"며 증가원인을 추정했다.

최근 보이스피싱의 특징은 납치 등 사고발생을 가장하는 사례는 감소한 반면 공신력 있는 수사기관을 사칭하는 수법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보이스피싱 중 수사기관 사칭형 비중은 작년 1월~5월까지 42.6%였던 것이 올해 같은기간 56.6%로 12.4% 늘었다.

특히 수사기관, 정부기관, 금감원, 금융기관 등을 복합적으로 사칭해 범죄에 활용하는 수법이 빈번해졌다.

경찰을 가장해 불안감을 조성한 후 금융기관을 가장해 다시 전화하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또한 금융기관을 가장해 금융사기에 연루됐다고 알리고 금감원에 신고해야 한다며 사기범의 전화번호를 알려주는 수법이다.

소비자는 이처럼 수사기관, 공공기관, 금융기관, 통신사 등을 사칭한 공갈에 주의해야 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은 어떠한 경우에도 개인정보나 금융거래정보를 직접 요구하거나 입력을 요구하지 않는다"면서 "문자메시지에 의한 전화 요구에 응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만일 피해를 입었을 경우 경찰청(112)이나 금융회사 콜센터에 신고하고 사기계좌의 지급정지를 즉시 요청해야 한다.

정부는 범행 취약 계응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수법과 피해예방에 적극 홍보함은 물론 9월가지 전화금융사기 연중 상시단속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더불어 경찰관서간 전국적 공조수사 활성화 등을 통해 보이스피싱 수사역량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김재현 기자 (s891158@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재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