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협력자 '문서위조' 시인… ‘간첩 위조 사건' 정식 수사
진상조사팀을 수사팀으로 개편, 권정훈 부산지검 형사 1부장 영입
‘간첩사건 증거조작’ 의혹과 관련해 국정원 협력자가 자살을 시도한 가운데, 검찰이 이번 사건에 대한 진상조사팀을 공식 수사팀으로 전환했다. 위조 문건을 건네는 대가로 국정원에서 돈을 받기도 했다는 내용의 유서도 공개돼 논란이 일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진상조사팀을 총괄 지휘하던 윤갑근 대검 강력부장(검사장)은 7일 “진상조사팀을 개편해 수사팀으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윤 검사장은 “처음부터 수사로 진행하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고, 지금이 적기라고 판단했다”며 “특히 국정원 협력자 자살 시도 이후 여러 의혹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명쾌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윤 검사장은 서울중앙지검으로 직무대리 발령을 받아 기존과 같이 수사팀을 지휘한다. 사무실은 서울고검에 설치될 예정이다.
수사팀에는 기존 진상조사팀에 차장검사급인 권정훈(사법연수원 24기) 부산지검 형사1부장이 추가로 영입됐다.
수사팀은 향후 주한중국대사관 영사부가 위조됐다고 밝힌 검찰 측 문서(유우성 씨에 대한 허룽시 공안국 출입경기록과 발급확인서, 싼허변방검사참의 정황설명서에 대한 답변서)에 대한 위조 경위와 가담자를 밝혀낼 방침이다.
이와 함께 윤 검사장은 검찰 조사 후 자살을 시도한 ‘국정원 협력자’ 조선족 김모 씨(61) 의혹과 관련해 “검찰은 직접 현장을 가지 않았고, 현장(혈서로 적힌 ‘국정원’)을 치우라는 등의 수사를 지시한바 없다”며 경찰로부터 현장사진도 공식적으로 전달 받지 못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조선족 김 씨의 유서에서는 “2개월치 봉급 6백만원과 가짜 서류 제작비 1000만원을 받아야 한다”며 “(국정원에) 협조했는데 왜 죄인 취급하느냐. 박근혜 대통령, 국정원 개혁해 달라”라는 내용이 적힌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검찰은 그동안 김 씨가 진술한 내용에 대해선 신빙성이 있는지, 객관적 자료에 부합하는지 검토할 방침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