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정성호 "안철수, 진정한 민생의 길 뭔지 고민 좀..."


입력 2014.02.06 11:18 수정 2014.02.06 11:26        이슬기 기자

6일 민주당 고위정책회의서 전면적으로 '야권연대' 강조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가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고위정책회의에서 이야기 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민주당이 6일 안철수 무소속 의원의 ‘선거 연대 거부’발언을 정면 비판하며 지방선거를 위한 야권연대를 재차 강조했다.

정성호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고위정책회의에서 “내가 원내대책회의나 고위정책회의에서도 거의 발언한 적이 없는데 오늘은 한마디 하겠다”고 나서면서 시선이 집중됐다.

정 수석은 이 자리에서 전날 안 의원이 전주를 방문해 “국민과 민생을 위한 연대협력은 마다않겠지만 선거만을 위한 연대는 없을 것”이라고 말한 것을 언급하며 “현재 정치상황에서 진정한 국익을 도모하고 민생을 살리는 구체적인 길이 어떤 길인지 좀 함께 고민하기를 당부드린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통령이 취임한지 채 1년도 안돼 대선공약 줄줄이 포기, 민생파탄이 심각하고 최근 개인정보유출, 여수기름피해 등에서 보여준 장관들의 무능력과 국정혼란이 목불인견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근혜정권과 새누리당을 심판하는 것보다 더 큰 국익이나 민생 살리는 길이 있는지 묻고싶다”고 말했다.

특히 정 수석은 감정이 격앙된 듯 “과연 새누리당에 어부지리를 주는 것이 국익과 민생에 얼마나 도움이 될 것인지 한번 답변해주기를 당부드린다”며 빠른 속도로 발언을 쏟아냈다.

이와 더불어 전병헌 원내대표도 지방선거 승리를 위한 야권연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전 원내대표는 “이번 지방선거는 단순한 여야간 싸움이 아니라 후퇴한 민주주의를 회복시키고 정권 심판을 통해 민생을 회복하는 장이 돼야한다”라며 “불통권력과 독선여당을 견제하기 위해 힘을 모아도 부족한테 협력의 대상끼리 견제와 분열하는 것은 새누리당에게 이익을 주고 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분열은 새누리당을 어부로 만들어주는 결과가 된다는 점을 삼척동자도 다 알고 있다”면서 “이를 분명히 인식하면서 현재 이대로는 안된다는 진보의 입장을 함께하는 모든 세력은 불통권력과 독선여당 견제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번 대정부질문을 ‘불통정권 심판’으로 규정하는 동시에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 등 현 정부의 인사실책을 비난하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전 원내대표는 “지난 1년간 민주주의는 후퇴하고 민생은 위기에 빠졌으며 약속 파탄으로 정치를 몰락시키고 있다. 대통령은 불통령이 되어버렸고 새누리당은 종박당이 되고 말았다”고 꼬집으면서 “민주당은 이번 대정부질문에서 국민을 대신해 지난 1년의 불통과 실정을 엄중히 묻고 국민의 답답한 가슴을 풀어드리겠다”고 말했다.

또한 전 원내대표는 “박근혜정부의 장관들은 사고가 터지면 하나같이 애물단지로 변하고 있다. 장관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가벼운 처신과 언행으로 국민은 분통을 넘어서 허탈한 실소를 연발하고 있다”라며 “박 대통령이 최근 ‘공직자가 적절치 못한 발언으로 국민에게 상처를 주면 책임을 묻겠다’고 약속했다. 윤 장관의 언행이 바로 이 케이스에 딱 들어맞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 박근혜 대통령은 윤진숙 장관을 엄중히 문책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정 수석은 전날 정부가 내놓은 ‘의원입법 규제에 대한 사후영향분석 추진 방침’에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어제 국무조정실 대통령 업무보고 때 국무조정실장이 국회의원 입법 때 사후규제 영향 분석을 하겠다고 보고했다”면서 “이는 국회 입법권에 대한 중대한 침해이자 도전이므로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 수석은 이어 “의원이 각종 규제를 양산한다고 억지 주장을 하고 있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라며 “법안을 발의해도 부처로 회부돼 부처 의견을 낼 수 있다. 법안심사소위 과정에서 부처 관계 공무원들이 충분히 의견을 개진하고 여당과 협의해 어떤 형태의 잘못된 법안도 통과되지 않도록 할 방법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