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권의 재활클리닉>골반통증 원인과 치료 시 유의할 점
골반통증 생각보다 많다
많은 사람들이 허리 통증을 호소하지만, 실제로는 이중 상당수가 골반 통증이다. 골반에는 어떤 구조물이 있기에 통증을 유발하는 걸까.
골반에는 골반의 앞뒤를 아우르는 장요근과 보행 시 중심을 잡는 중둔근, 그리고 이상근 등 자세나 걸음걸이에 따라 이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근육들이 여러 겹으로 포진하고 있다. 이 가운데 이상근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뤄봤다.
허리 디스크
최근 들어 디스크라는 말이 오남용 되면서 디스크의 홍수 속에 살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때가 많다. 과연 허리 및 골반이 아픈 것을 디스크라고 모두 치부해 버릴 수 있을까? 절대 그렇지 많다.
디스크로 인한 통증과 골반 내 근육으로 인한 통증은 많은 차이를 보인다. 허리나 골반이 아픈 경우 무조건 디스크라고 진단하고 이에 준해서 치료를 할 경우 오히려 더 불편해지는 경우가 많다.
주의해야 할 생활습관
한국 사람들은 유독 이상근 이상을 일으킬 확률이 높다. 좌식 생활이 많은 데다, 양반 다리로 앉는 생활습관 때문이다. 이럴 경우 이상근이 뭉치거나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이상근은 좌골 신경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어 좌골 신경 압박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그만큼 허리 디스크로 인한 신경 압박 증상으로 오인하기 쉽다.
또한 이 질환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훨씬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다리를 꼬고 앉거나 양반다리를 할 때 심하게 불편하다면 이 질환이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수술적 교정의 대상
수술을 결정할 때는 최소한 세 군데 이상의 의사와 상담을 해 보는 것이 좋다. 분야에 따라 수술의 적응증을 낮게 잡을 수도, 높게 잡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는 문헌적인 적응증은 그리 많지 않지만, 진료과목에 따라 의견의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연령이나 여러 가지 합병증 및 일상생활도 고려해 정확한 진단 후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글/윤영권 재활의학과 전문의 http://Blog.naver.com/yoonylscd4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