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대 노인 열차 문에 몸 낀 채 끌려가, 사고차량 개폐조작은 대학생 담당
철도 장기파업으로 인한 안전문제가 대두된 가운데 80대 노인의 지하철 승강장 사망 사고가 발생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이번 사고는 비전문 대체인력 적절성이 문제가 된 상황에서, 철도대학 대학생 대체인력이 투입된 지하철에서 내리던 80대 승객이 열차 문에 몸이 끼인 채 끌려가다 목숨을 잃는 피해가 발생해 이를 둘러싼 파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코레일에 따르면 15일 오후 9시 2분 경 서울 지하철 4호선 오이도행 K4615 전동열차가 정부과천청사역에서 하차하던 승객 김 모(84·여)씨를 전동차 문에 매달고 출발하다 인명사고를 냈다.
사고는 승객이 전동차 문에 끼었는데도 개폐를 확인해야 하는 기관사와 대체인력으로 투입된 대학생은 이를 인지하지 못한 채 열차를 그대로 출발시켜 승객이 끌려가면서 공사 중이던 승강장 스크린도어에 머리를 부딪쳤고, 뒤늦게 확인한 역무원 등에 의해 긴급 후송됐지만 병원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동열차에는 최근 철도파업으로 인력이 부족해 투입된 철도대학 소속 1학년 학생이 출입문 개폐 조작을 담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코레일은 이와 관련해 운행열차의 승무원중 기관사는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필수지정인원이며, 전동열차 승무원은 교통대학교 학생이 대체 투입 중이었지만, 아직 정확한 사고원인은 경찰에서 조사 중이라고 전했다.
또한 대학생 대체인력 투입에 대해서도 코레일은 전동열차승무원의 경우 특별한 자격이나 경력이 필요치 않으며 열차 맨 뒤 차량에서 전동열차 출입문 취급, 여객안내방송 등 업무를 수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레일은 “당시 출입문 기기나 개폐장치에는 이상이 없었다”며 “사망한 승객과 유족에게는 최대한의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을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