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메모리 해킹·스미싱' 피해방지 대책 비웃는 금융사기


입력 2013.12.03 17:21 수정 2013.12.03 17:59        김재현 기자

금융위 '신·변종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방지 종합대책' 발표

#올해 9월경 A씨는 지인에게 161만원을 송금하기 위해 정상적인 인터넷뱅킹사이트에 접속해 계좌이체를 진행하던 중 컴퓨터 화면이 잠시 깜박거리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에 A씨는 단순한 PC문제라 생각하고 재로그인해 이체를 완료했다. 하지만 입금계좌가 지인이 아닌 모르는 계좌번호로 바뀌었고 이체금액도 290만원으로 변경돼 이체됐지만 이미 인출한 상태였다.

#충북 청주시에 사는 이씨는 동료로부터 "돌잔치에 초대한다"는 문자메세지 한통을 받고 링크된 주소를 무심코 눌렀다. 이후 이씨 몰래 악성앱이 설치됐고 사기범은 악성앱을 통해 소액결제에 필요한 SMS인증번호를 가로채 총 30만원의 금전적 피해를 입었다.

지능적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신·변종 금융사기가 기승을 부리자 금융당국이 더 이상 방관하지 않겠다고 벼르고 있다. 보이스피싱에 이어 스미싱, 메모리해킹까지 진화하는 전자 금융사기가 발견될때 마다 당국이 대응책을 내놓았지만 그때마다 사기범들은 또다른 수법을 활용해 감시망을 교묘히 피해가고 있다.

전자금융사기 관련 대책을 내놓을 때마다 감시망을 앞질러 진화하는 사기수법에 속수무책일수 밖에 없어 실효성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3일 보이스피싱 피해방지 종합대책 시행 이후 인터넷과 스마트폰 기반의 고도화된 기법을 활용한 신·변종수법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신·변종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메모리해킹과 스미싱이 신·변종 전자금융사기의 대표적인 수법이다.

메모리의 해킹의 경우, 기존에는 보안카드번호 탈취였던 것이 계좌번호와 이체금액을 변조하는 방법으로 변화했다. 인터넷뱅킹 과정에서 악성코드를 이용해 입금계좌정보와 이체금액을 변조해 사기범계좌로 직접 이체하는 방식이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올해 6월부터 10월까지 이같은 수법으로 피해를 본 건수는 426건으로 금액으로 따지면 25억7000만원에 이른다.

'청첩장'이나 '돌잔치', '대한통운 택배' 등의 가짜 문자메세지를 악용한 스미싱 피해는 2만8469건으로 54억5000만원의 피해를 봤다.

스미싱 문자 및 차단체계. ⓒ금융위원회

이에 당국은 현재 지정계좌로만 이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입금계좌지정제를 개선해 지정계좌는 기존 방식대로 거래하고 미지정계좌는 소액이체만 허용하는 새로운 계좌지정제를 도입키로 했다.

또한 메모리해킹에 대응책으로 인터넷뱅킹 시 실행되는 보안프로그램의 메모리해킹 방지 기능을 보완하고 거래정보 변경이 의심되는 경우 추가 인증을 하도록 했다. 전화나 휴대폰 SMS로 인증을 하고 인증시 수취계좌 명의인과 이체금액 등을 안내한다.

해킹에 이용된 계좌는 제2금융권까지 지급정지를 실시하고 같은 계좌 명의인이 보유한 타계좌에 대해서도 비대면거래를 제한할 수 있도록 행정지도를 실시토록 했다. 관련 법 개정이 된다면 기존 같은 금융회사내 계좌 지급정지뿐만 아니라 전체 금융회사 계좌로 확대되는 것이다.

또한 대포통장 대여 등에 관한 처벌범위도 확대된다.

실제 대가가 없었더라도 대가를 매개로 해 통장을 주고 받는 자를 모두 처벌하도록 할 방침이다. 범죄를 목적으로 통장을 보관, 전달, 유통한 경우에도 통장보관자와 유통자까지 처벌받도록 했다.

고승범 금융위 사무처장은 "전자금융사기의 피해금은 대부분 대포통장계좌로 이체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이같은 제도가 활성화될 경우 피해 사례가 줄어들 것"이라고 기대했다.

전기통신금융사기의 피해금은 피해자가 이체한 이력이 없는 대포통장계좌로 이체되고 있다"며 "이 제도가 활성화될 경우 사기 피해 확률이 줄고, 피해 금액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주로 금융사기의 총액은 중국에 거점을 두고 활동하기 때문에 중국과 수사공조 체계를 강화해 정보공유 등 교류를 넓힌다.

하지만 신변종 금융사기가 나올때마다 피해는 줄일 수 있겠지만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 스스로가 예방하는 방법 외엔 정부의 효과적인 대책을 기대하긴 어렵다는 목소리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권에서도 신변종 사기가 나올때마다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대책보다 앞서는 사기수법엔 방도가 없다"면서 "예방과 홍보를 강화하더라도 원천적으로 뿌리뽑지 않는다면 피해자들은 계속 양산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아쉬워 했다.

금융당국에서도 새 사기수법이 나올때마다 그에 대응하는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고 처장은 "신변종 사기는 진화하면서 계속 나오고 있다"면서 "새로운 사기수법이 나올때 마다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대책을 내놓겠다"고 강조했다.

김재현 기자 (s891158@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재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