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지역별 수화 사투리, 짜장면이 대구에선 라면?


입력 2013.11.08 15:37 수정 2013.11.08 15:43        스팟뉴스팀

우유, 택시 등 표현법이 지역마다 달라

최근 '지역마다 다른 수화'가 네티즌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채널A 보도 화면캡처
같은 단어를 표현하는 수화가 지역에 따라 달라 관심을 끌고 있다.

한 예로 서울에서 짜장면을 표현하는 수화가 대구에서는 라면을 뜻한다. 이를 잘 모르고 대구 사람이 서울에서 라면을 주문한다면 짜장면이 나오는 황당한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

택시의 경우 서울과 대구, 광주에서는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T자를 만들어 왼손등에 올리지만 부산에서는 왼손등이 아닌 머리 위에 올린다.

또 우유를 표현하는 방법도 지역마다 다르다. 소에서 젖을 짜는 모습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아기에게 모유 수유하는 모습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렇게 지역마다 수화 표현이 다른 이유는 서울 농학교가 1963년 만들어 쓰던 표현을 2000년 정부가 뒤늦게 표준 수화로 정했기 때문이다.

‘지역별 수화 사투리’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지역별로 수화 사투리가 있었다니”, “이거 잘 알고 있어야겠네요. 짜장 시켰는데 라면 나오면 황당하니깐요”, “말에만 사투리 있는 줄 알았더니 신기하네”, “수화에도 표준어가 있어야겠네요”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