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새누리당과 무상보육 끝장토론 하겠다"
예산 축소편성 지적엔 "대통령 공약 기대하고 예산 짠 것"
무상보육을 놓고 서울시와 새누리당, 중앙정부의 갈등이 깊어지는 가운데 박원순 서울시장이 새누리당에서 제안한 무상보육 끝장토론에 응하겠다는 답변을 내놨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9일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나와 “오늘 저녁이라도 당장 (무상보육 끝장토론을)하겠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이런 상황을 기피할 이유가 없지 않나? 무슨 말을 할지 정말 궁금하다. 최경환 대표하고 나하고 1:1로 끝장토론을 해도 좋다”고 말했다.
지난 6일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박 시장에게 공개사과를 촉구한 뒤 박 시장과 여야 정책위의장, 기획재정부장관이 참여하는 공개토론을 제안한 바 있다.
아울러 박 시장은 “무상보육은 서울시가 시작한 것이 아니다”라며 “새누리당이 중심이 된 국회와 중앙정부가 동의해서 만들어진 정책이다. 당연히 중앙정부가 부담하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그는 “물론 서울시는 무상보육 정책에 동의한다”면서도 “다만 재정이 문제인데 금년 예산에 대해선 중앙정부가 책임을 지겠다고 했기 때문에 저희들로서는 편성을 적게 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추경편성에 대한 비난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먼저‘서울시에 올해 지원된 예산이 전체무상보육예산의 42%’라는 지적에 박 시장은 "올해는 예비비 등이 임시적으로 지급됐던 것이고 변하지 않는 국고기준보조율을 바꿔달라는 것"이라며 "올해 예산도 여야합의로 이미 보건복지위원회에서 6(중앙):4(지방)로 바꾸기로 합의가 됐었는데 기재부가 반대해 통과가 안 되고 있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서울시가 무상보육정책을 우선순위에서 제외를 해서 예산을 축소편성했다’는 지적에 대해선 “무상보육은 박 대통령께서 공약을 했다”며 “그걸 기대하고 예산을 짰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무상보육이)확대 시행되면서 서울시는 아동숫자만 21만 명이 늘어났다”며 “중앙정부가 다 책임지라고 한 것도 아니고 8:2를 6:4로 바꿔달라고 했던 것이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서울시가 매년 불용예산을 편성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다른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와 달리 서울시 홈페이지에 가면 다 공개가 돼 있다”며 “서울시만큼 투명하게 공개하는 정부는 세계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박 시장은 "예산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다면 그런 주장이 나올 수 없다"며 "한해 서울시 세출규모를 예측해서 1년 전에 편성하고 그 다음에 집행단계에 들어가면 세출이 예측치와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건 중앙정부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에 15억 선심성 예산편성’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도 “서울시만이 아닌 중앙정부인 고용노동부도 하고 있고, 부산, 경남, 인천, 광주 등 다른 지자체에서 다 하고 있다”며 “거기에 대해선 한 마디도 안 하고 서울시가 뒤늦게 하니까 그걸 문제 삼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