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문재인 정계은퇴 선언 얄팍한 배수진"
"책임에서 벗어나려는 자기결백성, 무책임한 행동" 비판
김태흠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1일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이 사실이라면 정계를 은퇴하겠다’는 문재인 민주당 의원의 발언에 대해 “얄팍한 배수진”이라고 비판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직접 ‘포기’라는 단어가 없어서 아마 얄팍한 배수진을 치는 것 같다”며 “이 부분은 어떻게 보면 야당에 대한 압박도 있는 것 같고, 여당에게도 이런 부분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은 모양”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런데 결론은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 논란에서, 어떤 책임에서 벗어나려는 것처럼, 어떻게 보면 자기결백성을 보이는 것 같다”며 “이건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에) NLL 포기라는 말 자체는 없었지만 어떻게 보면 노 전 대통령의 발언이 국군통수권자로서 영토의 수호의지 없이 사실상 NLL 포기발언을 한 것”이라며 “NLL 무력화 발언도 수차례 한 것이다. NLL은 바꿔야 한다. 이런 부분을 얘기했다”고 주장했다.
‘NLL을 바꿔야 한다는 것을 포기라는 발언으로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그럼 국민들이 NLL을 서로 영토의 경계선이라고 생각을 하는데 (NLL을) 바꿔야 된다고 얘기하는 부분이 대통령으로서 맞는 이야기인가”라고 반문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NLL을 서해평화구역으로 바꿔서 안정적인 평화를 확보하자는 것’이라는 민주당의 주장에 대해서도 “그건 어떻게 보면 말장난”이라며 “우리가 생각하는 우리의 영해에 평화지역을 만들고 그 다음에 공동어로구역을 만들자는 얘기가 포기”라고 지적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도 DMZ(비무장지대)에 평화구역을 만들자고 했다’는 지적에는 “그건 틀리다”면서 “DMZ라는 것은 서로 간에 한계선에 대략 남쪽으로 2㎞, 북쪽으로 2㎞ 식으로 저쪽도 반 내놓은 거고, 이쪽도 반 내놓은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 평화지대를 만든다는 것과 이 부분(서해 공동어로구역 설정)은 틀리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또 민주당의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 구성과 관련, “김현 민주당 의원은 국정원 여직원을 감금하고 인권유린에 참여했던 당사자이고, 같은 당 진선미 의원은 직원한테 받은 내부자료를 넘겨받아서 의혹을 확대시킨 장본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 두 사람은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 위반과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작년 대통령 선거 당시 고발됐다”면서 “고발된 당사자들이 이 특위에 참여하는 것은 제척사유가 된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강은희 원내대변인도 이날 MBC라디오 ‘시선집중’에 출연해 “새누리당도 대화록을 공개하고 좀 더 확실하게 녹취록까지 공개하자는 입장”이라며 “(문 의원이) 이 부분에 대해 지난해 대선 전에도 얘기를 했고, 현재도 얘기를 했기 때문에 합당한 책임을 지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강 원내대변인은 국정원 국정조사 대상에 대해서는 “새누리당 측에서는 전·현직 국정원 직원이 (국정원의) 대선과 정치 개입을 어떻게 알았는가, 정말 민주당에서 주장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알고 어떻게 행동했는가라는 부분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증인 선택과 관련해서는 “국정원 댓글과 관련된 증인이기 때문에 남재준 국정원장은 불필요하다”며 “새누리당 측에서는 김모 정모 국정원 전 직원, 김부겸 전 민주당 의원 등 여직원의 인권을 침해한 사람들과 매관매직에 개입했던 관계자들 모두를 증인으로 채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강 원내대변인은 같은 당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 대사의 ‘대화록 사전 열람’ 의혹에 대해서는 “김 의원과 권 대사 녹음파일 등을 좀 더 살펴봐야 한다”며 “진실 여부를 떠나 민주당 측에서 녹음 파일 100여개 보유를 공언했는데 녹취 파일을 어떻게 입수했는지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어떤 기자에게 받아서 어떻게 입수했는지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면서 “떳떳하게 확인시켜서 공개하는 것이 맞다”고 촉구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