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죽어가던 친노가 NLL로 부활하다니...


입력 2013.06.29 10:40 수정 2013.06.29 12:28        조소영 기자

총선 대선 패배 책임 잠자던 친노 재결집 NLL 논란 전면 부상

왼쪽부터 문재인 민주통합당 의원, 이병완 노무현재단 이사장, 안희정 충남도지사.ⓒ데일리안/연합뉴스

18대 대통령 선거 때 시작돼 국가정보원(국정원)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공개하면서 심화된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북방한계선) 포기 발언’ 논란을 두고 이에 반박하는 친노(친노무현)계의 목소리가 연일 높아지고 있다.

‘친노의 수장’인 문재인 민주당 의원부터 정계를 잠정 은퇴한 ‘노무현의 남자’ 유시민 전 의원까지 노 전 대통령의 ‘비호’에 나선 것. 보수진영의 총공세에 친노 또한 총결집한 모양새로 이로 인해 대선 패배 책임으로 ‘잠자던 친노’가 재결집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문 의원은 지난 21일부터 노 전 대통령의 NLL발언 문제와 관련해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했다. 그는 이날 긴급성명을 발표하고 “노 전 대통령의 명예와 진실규명을 위해 정상회담 대화록을 공개하자”고 말했다. 문 의원은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논란과 관련해 발언하기 시작했다.

그는 국정원이 대화록을 공개한 전후로 주로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국정원이 가진 정상회담 대화록이 아닌 국가기록원에 있는 원본을 열람하자”, “정상회담 대화록을 공공기록물로 판단한다면 법적책임을 물을 것”, “NLL를 포기한다는 말은 없다”는 등 해당 논란과 관련된 말들을 말 그대로 쏟아냈다. 27일에는 해당 사안과 박근혜정부를 연계한 의혹을 제기키도 했다.

여기에 ‘리틀 노무현’으로 불리는 안희정 충남도지사와 유 전 의원도 최근 입을 열었다.

안 지사는 26일 트위터에 “국가기관의 정치개입,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법률위반. 용서할 수 없는 일”이라며 “헌법과 법률을 수호해야할 의무가 대통령에게 있다. 헌법과 법률을 수호하자”고 일침했다. 유 전 의원도 25일 트위터를 통해 “국정원과 새누리당은 난독증에 이성결핍”이라고 적었고, 26일에는 “박근혜, 참 고약한 대통령”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병완 노무현재단 이사장도 27일 서울 마포구에서 가진 긴급 기자회견에서 ‘NLL논란’의 중심에 서있는 정문헌·서상기 새누리당 의원과 남재준 국정원장 등을 겨냥해 법적 대응을 할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아울러 ‘참여정부 마지막 비서관’인 김경수 노무현재단 봉하사업본부장도 각종 라디오 프로그램 등에 출연해 논란과 관련, 반박의 말들을 남기고 있다.

여야 간 NLL과 정상회담 대화록 등을 놓고 ‘진흙탕 싸움’을 벌이고 있기 때문에 해당 사안은 장기전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경우, 친노의 목소리는 더욱 높고 거세질 전망이다. 자신들의 ‘주군’과 연계된 일인데다 향후 민주당의 입지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 이렇게 일련의 상황들이 지속되면 자연스럽게 당 안팎으로 ‘친노 재결집’이 이뤄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박상철 경기대 교수는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이와 관련, “(NLL논란 등으로) 친노가 재결집할 수 있는 판이 만들어졌다”며 “현재 친노는 지난 총선과 대선에 대한 책임을 져야하지만, 현 논란의 주체로도 나서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이어 “민주당으로서는 ‘친노 결집’으로 인해 근본적인 개혁이 어렵게 됐다고 볼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조소영 기자 (cho1175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소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