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탈갑' 류현진 휘청…왜 얻어 맞았나
직구 스피드 떨어지고 체인지업도 쏠려
순연 여파와 함께 ‘연패 끊기’ 부담도
3승, 4경기 연속 퀄리티 스타트, 그리고 연패 끊기 모두 실패했다.
'코리언 몬스터' 류현진(26·LA다저스)이 21일(한국시각) 미국 볼티모어 캠든야즈 오리올파크서 열린 ‘2013 MLB' 볼티모어와의 원정경기 더블헤더 1차전에 선발 등판, 6이닝 8피안타(2피홈런) 2볼넷 6탈삼진 5실점(5자책점)을 기록했다.
류현진은 5-5로 맞선 7회 마운드를 내려가 패전의 멍에는 쓰지 않았지만(No decision), 다저스는 이날도 연패 사슬을 끊지 못했다. 또한, 이날 홈런 2방 포함 5자책점을 기록한 류현진은 평균자책점이 경기 전 2.89에서 4.01로 치솟았다. 메이저리그 데뷔 이후 가장 내용이 좋지 않은 투구를 한 셈이다.
경기 초반 다저스 타선이 류현진을 도왔다. 1회초 마크 엘리스와 맷 캠프가 연속안타로 만든 2사 1,2루 찬스에서 안드레 이디어의 3점 홈런으로 기선을 제압했다. 타선은 터졌지만 류현진은 우천 연기로 인해 구위가 평소보다 좋지 못했다. 가장 중요한 직구 구속이 떨어졌다.
직구 구속이 떨어지면 주무기 체인지업과 커브의 위력도 상대적으로 반감한다. 류현진이 이날 2회 J.J 하디에게 허용한 투런 홈런의 구질은 직구, 구속은 87마일(139km/h)에 그쳤다. 평소 90마일(145km/h)을 상회하는 구속보다 5~6km/h가 떨어진 상태였다.
직구 구위가 떨어지니 세컨 피치인 체인지업도 위력이 떨어졌다. 4회 2사 후 놀런 레이몰드에게 허용한 좌월 솔로홈런이 80마일(129km/h)짜리 초구 체인지업이었다. 제구가 안 된 한 가운데 스트라이크존에 형성된 사실상 실투였다.
류현진의 체인지업은 로케이션이 한 가운데로 들어가선 안 되는 구질이다. 우타자 바깥쪽으로 휘면서 떨어지기 때문에 바깥쪽 낮은 스트라이크존에서 공 한두 개 높낮이를 활용하는 구질이다. 그런데 한 가운데에 몰렸다. 이는 구종 선택과 볼배합, 로케이션에서 모두 문제를 드러낸 것이다.
초구 스트라이크를 잡기 위해 무심코 던진 공 하나가 3승을 수포로 돌린 셈이다. 8번 타자라 쉽게 생각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레이몰드는 2011시즌 15홈런을 쏘아 올릴 정도로 8번 치곤 장타력을 보유한 타자다.
더욱이 레이몰드는 이날 5-5 동점 상황이던 8회말 다저스 계투진 로날드 벨리사리오를 상대로 결승 우익선상 2타점 2루타를 터뜨렸다. 타격감이 좋은 타자를 상대로 쉽게 생각한 실투 하나가 류현진의 시즌 3승을 날렸다.
이날 류현진의 투구는 위력도 떨어졌고 타자와의 승부에서 보여준 집중력도 지난 3경기와는 달랐다. 가장 큰 이유는 우천 순연을 꼽을 수 있다. 류현진이 준비했던 밤 경기가 낮 경기로 바뀌고 컨디션을 최고조로 맞췄던 선발 경기가 우천으로 18시간 순연되면서 컨디션 조절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우천으로 경기 전 취소가 아니라 방수포를 덮고 진행 상황을 지켜보면서 경기 속행과 취소에 대한 부담이 지속됐을 가능성이 크다. 사전 취소의 경우와 라커룸 대기 후 취소는 다르다. 라커룸 대기 시 컨디션 조절에 영향을 받는 가장 많이 받는 것은 선발투수다.
팀이 연패에 빠진 상황에서 류현진이 승리를 거뒀다면 팀 내 입지가 더 넓어질 수 있다. 아무리 ‘멘탈갑’인 류현진이라도 이런 상황이라면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팀 사정이 부담을 가중시키고 우천 순연이 겹치면서 컨디션 조절에 독이 됐다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오리올스전에서 얻은 값진 소득은 90마일이 넘지 않는 투구로는 아무리 훌륭한 체인지업과 커브, 슬라이더를 보유하더라도 장타를 허용할 우려가 상존한다는 점이다. 특히, 류현진이 메이저리그 데뷔 후 허용한 3개의 피홈런이 모두 우타자에게서 나왔다는 것.
이날 두 개의 홈런과 지난 8일 피츠버그 파이어리츠전에서 앤드류 맥커친에게 허용한 홈런까지 모두 우타자에게 허용한 홈런이다. 결국, 류현진의 90마일대 초반 직구는 우타자들에겐 장타로 언제든 연결될 수 있다는 의미다. 좌타자를 상대로 90마일 정도의 직구도 슬라이더와 조합하면 통할 수 있지만 우타자를 제압하기엔 역부족이다.
우타자를 상대하기 위해선 직구 최고 구속을 93마일(150km/h) 이상 뿌릴 수 있어야 한다. 즉, 류현진이 메이저리그 특급 투수로 자리를 굳히려면 5km 내외의 직구 구속 증가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다만, 컨디션이 안 좋은 상황에서도 노련한 경기 운영으로 6개의 탈삼진을 솎아내며 6이닝을 투구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