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경기도교육청, 경기상공회의소와 '협약형 특성화고' 지정 전략 협의


입력 2025.03.31 16:43 수정 2025.03.31 16:44        유진상 기자 (yjs@dailian.co.kr)

지역 정주형 기술인재 양성 위해 '긴밀한 협력' 추진

경기도교육청과 경기상공회의소가 31일 '협약형 특성화고' 지정 지원 협의회를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제공

경기도교육청은 31일 2기 '협약형 특성화고' 지정 지원을 위해 경기상공회의소와 전략 협의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도교육청-지자체-지역기업-특성화고가 함께 지역 맞춤형 직업교육을 실현하는 학교다. 지역 정주형 기술인재 양성과 도내 고졸 취업 활성화를 위해 2024년 처음 도입했다.


이번 협의회는 2025년 도내 특성화고 3교의 '협약형 특성화고' 선정 지원을 위해 마련했다. 도내 지역상공회의소와 회원사의 긴밀한 협력 방안과 3개 지정 분야에 대한 구체적 지원 전략을 모색했다. 또한 지난해 미선정 사유 분석을 토대로 유관기관과 연계 방안 등을 논의했다.


경기상공회의소 배해동 회장은 회원사의 기술 인재 확보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며, 도내 '협약형 특성화고' 유치를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도교육청은 공모 사업을 넘어 '협약형 특성화고' 지정을 지속 가능한 중등 직업교육의 제도적 기반으로 삼고 세부 전략을 수립할 방침이다.


한편 올해 선정되지 못한 특성화고는 경기 미래형 직업교육 모델학교 '지역 연계 상생형(경기 협약형) 특성화고'로 운영하고 다음 연도에 '협약형 특성화고'로 지정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유진상 기자 (yj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