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야놀자, 작년 글로벌 통합거래액 27조원…"연간 최대 실적"


입력 2025.03.31 17:00 수정 2025.03.31 17:00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야놀자

야놀자는 지난해 글로벌 통합거래액(Aggregate TTV)이 27조원으로 전년 대비 186%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통합거래액은 야놀자의 글로벌 솔루션과 플랫폼 거래 규모 및 데이터 유통량을 가늠할 수 있는 핵심 지표로서,독자적인 거래 데이터를 활용해 글로벌 여행 트렌드를 분석하고 AI기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데이터 플랫폼의 신뢰도를 나타낸다.


통합거래액은 트랜잭션 솔루션을 통해 수수료가 발생하는 직접거래액(Direct TTV)과 데이터 솔루션 및 서브스크립션 솔루션을 통한 간접거래액(Indirect TTV)의 총합으로 구성된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야놀자의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은 9245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조정 EBITDA는 1147억원으로 1년 전보다 68% 늘었고, 영업이익은 1782% 뛴 492억원이다. 조정 EBITDA 마진율도 12%로 3%P 개선되는 등 수익성이 크게 높아졌다.


이번 사상 최대 실적은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부문의 글로벌 시장에서 200여개국 이상으로의 성공적 사업 확장과 컨슈머 플랫폼의 안정된 성장 등 전 사업부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달성됐다.


우선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부문은 고 글로벌 트래블과 야놀자 클라우드 솔루션 등 글로벌 멤버사를 앞세운 전략적 사업 확장이 빠르게 성과를 거둔데 따른 것이다.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부문 매출은 통합거래액의 급격한 증가세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62% 성장한 2926억원을 기록했다.


조정 EBITDA는 677억원(전년 동기 대비 295% 증가), 영업이익은 576억원(전년 동기 대비 454% 성장), 조정EBITDA 마진율은 23%로 전년 대비 14%P 개선하는 등 매해 최대 실적을 경신 중이다.


이 중 AI데이터 솔루션 매출 비중은 2024년 1분기 14%에서 4분기에는 25%까지 빠르게 증가 중이다. 이는 글로벌 여행 수요 회복에 맞춰 전 세계 2만1000개 이상의 세일즈 채널과 130만여 여행 사업자를 중심으로 솔루션 사업 저변을 확대하고, 유럽, 중동, 미주 등 주요 여행 시장에서 디스트리뷰션 및 데이터 사업을 중심으로 탄탄한 성장 기반을 구축한 것이 주효했다.


컨슈머 플랫폼 부문은 동기간 매출 6712억원, 조정 EBITDA 884억원, 영업이익 620억원을 기록했다. 강 달러와 티메프 사태 등 여행 시장을 위축시키는 대외 악재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티메프 사태로 발생한 일회성 대손상각비 발생에도 탄탄한 재무건전성과 13% 이상의 조정 EBITDA 마진율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했다.


지난해 말 새롭게 출범한 놀유니버스는 여행, 레저, 엔터테인먼트를 넘어 여정의 모든 순간을 연결하는 여행 플랫폼으로서, 소비자에게 더욱 직관적이고 몰입감 있는 여행 경험을 통해 국내외 고객을 대상으로 저변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야놀자는 구글 클라우드, 아마존웹서비스, Open AI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협업을 강화하며 AI기반 데이터 솔루션의 서비스 라인업을 확대하고 기능을 고도화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여행 전 단계에서 여행자에게는 맞춤화된 여행 경험을, 여행 사업자에게는 운영 자동화를 통한 효율성 및 수익성 제고를 지원해 보다 향상된 고객 경험을 만들어 나간다.


나아가 운영 환경 전반을 자동화하는 AI서비스를 가속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야놀자 관계자는 "지난해는 글로벌 트래블 테크 기업으로서 독보적인 데이터 인프라와 AI기술을 토대로 글로벌 여행 산업을 위한 AI서비스를 본격화하는 중요한 한 해였다"며 "앞으로도 AI기술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해 지속적인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나영 기자 (ny403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