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역~부산역 2.8km 구간 지하화…인공지반 시공
철도부지 37만㎡ 개발…북항 항만 재개발과 연계
동남권 국제교류·금융·관광 부지로 재탄생
부산에서 국내 철도지하화 1호 사업이 추진된다. 앞서 지난달 국토교통부가 철도지하화 선도사업으로 부산을 비롯해 대전·안산 등 총 4조3000억원 규모의 철도지하화 선도사업을 선정한 데 따른 것이다.
철도지하화 사업이 완성되면 단절된 부산의 도심이 연결되고 철도부지 개발은 북항 항만 재개발 사업과 연계돼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28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부산차량사업소 건물 옥상에 올라가니 부산역 조차장 양 옆으로 분절된 도시가 한눈에 들어왔다. 왼쪽으로는 부산의 구도심이, 오른쪽에는 북항 항만재개발 사업 부지가 위치해 있었다.
하치덕 부산시 철도시설과장은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사업은 지하화와 통합개발로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균형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것이 취지”라며 “올해 기본계획을 수립해 정부로터 승인을 받으면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부산시의 철도지하화 통합개발사업은 부산진역~부산역 2.8km 구간을 지하화하고 부산역 조차장부터 부산진 컨테이너야드(CY)까지 37만1000㎡ 규모의 철도부지를 부산신항으로 이전 후 개발하는 것이 핵심이다.
총 사업비만 철도지하화 6841억원과 철도부지개발 1조1342억원을 합친 총 1조8184억원에 달한다.
다만 엄밀히 말하면 철도를 지하로 보내는 지하화는 아니다. 경부선 선로 등 철도시설은 상부에 인공지반(데크)으로 덮고 그 위를 개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시행된 철도지하화통합개발법의 목적은 철도가 도심을 통과하며 생기는 단절, 소음, 안전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라며 “이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철도를 지하로 넣거나 인공지반으로 덮어 씌우는 등 여러 방안을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산의 경우 철도를 지하로 내릴 수 있는 공간적 여력이 되지 않는 상황”이라며 “지하화를 하는 동안 운행할 우회 노선도 만들 공간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부산시는 내년 말까지 철도지하화 기본계획 수립 등을 비롯해 철도 시설 재배치 계획 조정을 추진한단 계획이다.
이후 철도지하화는 2027년부터 2029년까지 설계에 착수해 오는 2030년부터 2035년까지 부산진 CY 이전 및 인공지반 시공을 마친단 계획을 수립한 상태다.
상부개발 사업은 2027년부터 2031년까지 실시계획·보상을 진행하고 2031년부터 2037년까지 부지조성 및 분양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통해 부산진CY~부산역 일대는 북항 재개발사업과 함께 동남권 국제교류·금융·관광 기능을 공급하는 곳으로 재탄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철도 시설도 재배치돼 부산역은 KTX전용역으로 탈바꿈하고 일반열차는 부전역에 정차하게 된다.
하 과장은 “철도시설 상부에는 녹지공간도 조성하고 커뮤니티 시설도 넣고, 필요하다면 행복주택이나 공공임대주택도 넣을 수 있을 것”이라며 “그 옆 철도부지에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설을 지을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북항 재개발 사업구역 쪽에는 랜드마크가 조성된다”며 “현재 건축물 사업을 진행 중인데 지하화 통합 개발 사업과 연계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 제기하는 사업성 부족 문제에 대해서는 자신만만한 모습을 보였다. 철도지하화는 상부 개발이익으로 지하화 사업비를 조달하는 것이 원칙으로 사업성이 부족할 경우 지자체가 선부담해야 하는 조건이 달린다.
하 과장은 “사업구조에 대한 검증을 마쳤고 사업성이 충분히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만약 사업성이 떨어질 것으로 우려될 경우에는 기본 계획이나 사업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사업 구역을 줄이는 등 세부적인 조정을 통해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