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제품 및 부품 제조·공급도 적용
환경부는 한국소비자원, 가전업계와 함께 마련한 ‘살생물제 안전관리 지침’을 화학제품안전포털에 24일 공개한다.
지침은 지난해 7월 구성한 ‘가전제품 살생물제 안전관리 협의체’가 가전제품 살생물제 사용 현황과 안전관리 방안을 논의해 마련했다.
지침은 가전업계가 완제품과 부품을 제조·공급하는 과정에서 적법하게 승인된 살생물제를 사용하도록 유도한다. 공급망 내 투명한 정보 공유 등을 통해 업계 스스로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데 활용할 예정이다.
특히 정부와 가전업계가 협업해 2028년부터 승인된 살생물 제품만을 사용해야 하는 관련 의무를 적용하기 전에 자발적으로 대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환경부는 올해 지침을 바탕으로 가전제품 분야 살생물제 안전관리 체계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생활가전 완제품 업체를 중심으로 부품과 원료를 공급하는 협력업체에도 살생물제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상담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환경부와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11월 자동차 업계와 ‘살생물제 안전관리 지침)’을 마련한 바 있다. 환경부는 시범 사업 등을 통해 완성차 부품(필터, 시트, 핸들 등) 공급망에 속한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살생물제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했다.
박연재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업계 특성을 고려한 살생물제 안전관리 체계구축을 위해 자발적 참여에 기반한 민관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며 “자동차와 가전제품에 이어 섬유·침구 분야 등 대상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살생물제 안전관리 체계 기틀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