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KTL, 첨단 기능성 소재기반 시기능 보조기기 산업 육성 기여


입력 2025.02.21 14:31 수정 2025.02.21 14:31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국산화 소재 적용 18개 제품 상용화 등 성과

지난해 12월 10일 서울드래곤시티에서 열린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첨단기능성소재기반시기능보조기기산업육성 사업 성과보고회 모습.ⓒKTL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은 '첨단 기능성 소재 기반 시기능 보조기기 산업육성' 과제를 수행해 관련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수출 애로 해소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 등의 성과를 거뒀다고 21일 밝혔다.


KTL은 소재기술지원 인프라를 갖춘 대구테크노파크와 안광학 제품기술지원 인프라를 보유한 대구가톨릭대학교 안광학융합기술사업단을 간접보조사업자로 선정했다.


대구테크노파크는 국산화 소재를 활용한 시제품 제작과 시험분석을 지원했다. 대구가톨릭대학교 안광학융합기술사업단은 시제품 제작, 시생산 지원 및 생물학적 안정성(in-vivo)평가, 공정애로 기술지도를 담당했다.


해당 사업을 총괄한 KTL은 국내 시기능 보조기기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정보와 시제품 제작에 대한 컨설팅 제공과 더불어 제품 인허가에 필수적인 시험성적서·시험보고서, 기술문서 작성 등을 지원했다.


그 결과 18개 제품이 국산화 소재를 적용해 상용화에 성공했다. 관련 신규 고용 402명 창출, 산업부 장관 표창과 CES 혁신상 등 7건의 관련 수상 등 다양한 성과를 거뒀다.


특히 KTL은 해당 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전문 리서치 업체를 통해 성과 조사를 실시했다. 해당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지원사업 기여도를 반영한 5년간의 총 매출액은 473억8300만원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성과들을 통해 국내 시기능 보조기기 중소벤처기업들은 신제품에 대한 신속한 시제품 제작·분석과 조기 신뢰성 확보 등으로 사업화에 대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해 조기시장 진입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관련 전문 인력 일자리 확보와 더불어 관련 R&BD도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성용 KTL 바이오의료헬스본부장은 "이번 사업으로 대구테크노파크, 대구가톨릭대학교 안광학기술융합사업단과 함께 국내 시기능 보조기기 산업의 성장을 위한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우리 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들을 거둬 기쁘다"며 "앞으로도 시기능 보조기기 제품을 발 빠르게 상용화해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산업계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기업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KTL은 해당 사업을 성과를 인정받아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첨단 기능성 소재 기반 시기능 보조기기 산업육성' 2단계 사업을 추가로 수행할 예정이다.


2단계 사업에서는 지난 사업에서 집중적으로 지원한 인체부착형 시기능 보조기기(일반 투명 콘택트렌즈와 미용 콘텐트렌즈 등)를 넘어 고부가가치 시기능 보조기기 제품에 대한 지원에 나선다.


고부가가치 시기능 제품으로는 첨단광학·바이오소재·ICT 융복합 기술 등 진단·치료·기능을 고도화한 고기능성 콘택트렌즈, 의료기기용 스마트 아이웨어, 안질환 보조기기 등이 있다.


KTL은 이번 기업 지원 사업을 수행할 간접보조자를 지난 17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KTL 홈페이지와 e나라도움에서 모집하고 있다. 3월 중에는 보조금 지원이 필요한 제조기업 모집을 위한 공고가 KTL 홈페이지를 통해 게시될 예정이다.

임은석 기자 (fedor0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