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장, 20개 국내은행 행장과 간담회
"임 회장 빠지면 거버넌스 흔들려 우려"
기업은행 ‘부당대출’도 큰 책임 물을 것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우리금융에서 발생한 부당대출 문제 관련 "지주 회장께서 임기를 채우는 게 좋겠다"고 언급했다.
금감원의 임종룡 회장에 대한 사퇴압박 의혹을 잠식시키는 발언이자, 임 회장 체제 아래서 사고 등 논란을 수습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 원장은 19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은행장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금감원이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을) 그만두게 하려 한다는 시각이 있다는 걸 저희도 잘 알고 있다"며 "오히려 우리금융에 파벌이 존재하고 내부통제가 틀어져 있는 상황에서 임 회장이 그만두면 거버넌스상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 원장은 그간 우리금융 부당대출 문제를 두고 임 회장의 '책임론'을 강조해 왔다. 임 회장의 임기에 대해 공식적으로 발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임 원장은 "임기는 원칙적으로 이사회와 주주가 결정할 문제"라면서도 "임 회장이 (사태를) 정리해야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다만, 경영실태평가 도출 및 그 이후 이어질 자회사 편입 문제 등은 원칙대로 엄정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우리금융 거버넌스가 흔들리지 않는 게 좋고 (회장이) 임기를 지키는 게 좋다고 생각하지만, 거꾸로 우리금융 회장과 우리은행장이 직을 걸고 조직의 체질개선을 위해 환골탈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천억 단위의 금융사고들이 뉴노멀이 될 정도로 퍼졌다는 점에서 굉장히 심각하게 보고 있다"며 부당대출 문제는 임 회장이 직접 정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최근 전현직 임직원 연루 부당대출이 발생한 기업은행에 대해서도 엄정 조치를 예고했다.
이 원장은 "기업은행의 문제는 끼리끼리, 온정주의나 외연 확장주의에서 비롯됐다"며 "굉장히 심각하게 생각하며 큰 책임을 물으려고 한다"고 꼬집었다.
은행 최고경영자(CEO) 선임에 대해서는 하나금융지주를 언급했다. 이 원장은 "하나금융지주 절차들도 상당히 많이 좋아졌으나 언론이나 국민들이 보기엔 셀프 연임으로 오해 할 수 있는 지점들이 있다"며 "절차가 주주나 소비자들에게 충분히 공유 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고 했다.
시중은행들이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하지 않고 가산금리를 유지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지난 10월부터 시작된 금리인하의 흐름이 올해 1분기 정도부터 어느 정도 효과가 발생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조금 더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바람직하다는 공감대가 있는 만큼 소비자들이 1분기가 지나며 금리 인하 효과를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카드사들의 애플페이 도입에 따른 수수로 확대 우려와 관련해서는 "자체 시뮬레이션 결과 소비자, 가맹점에 많은 피해를 초래할 규모는 아니고 카드사가 흡수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애플페이 도입을 희망하는 금융사와 논의 중이며 피해가 전가되지 않도록 필요하다만 TF를 만들어 논의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