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사직 전공의 10명 중 6명 '일반의'로 병의원 재취업


입력 2025.02.18 09:00 수정 2025.02.18 09:03        허찬영 기자 (hcy@dailian.co.kr)

수련병원서 사직했거나 임용 포기한 레지던트 9222명 중 5176명 의료기관 재취업

5176명 중 3023명 의원급 기관서 근무…상급종합병원 재취업 전공의 88명에 그쳐

올해 전문의 시험 1차 합격자 급감…전문의 수 작년 말 수준에 머물거나 줄어들 수도

지난 4일 오전 서울 한 대형병원 전공의실 앞 복도에 한 의료 관계자가 이동하고 있다.ⓒ연합뉴스

의대 증원 등 정부 정책에 반발해 1년 전 병원을 떠난 전공의 10명 중 6명이 일반의로 의료기관에 재취업한 것으로 파악됐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수련병원에서 사직했거나 임용을 포기한 레지던트 9222명 중 지난달 기준 5176명(56.1%)이 의료기관에 재취업했다.


전공의들은 지난해 2월 6일 정부가 의대 입학정원 2000명 증원을 발표한 이후 일제히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후 같은 달 20일부로 근무를 중단했다.


이어 작년 6월 정부의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 철회로 7월부터 병원별로 사직 처리가 시작되면서 전공의들이 일반의로 재취업하는 게 가능해졌다. 일반의는 의대 졸업 후 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했지만 전공의 수련 과정을 밟지 않은 의사로, 일반의가 과목별로 인턴과 레지던트 과정을 거쳐 전문의 시험에 합격하면 전문의가 된다.


전공의들의 재취업 의료기관을 종별로 보면 5176명 중 58.4%인 3023명이 의원급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다. 이 중 3분의 2가 서울(998명), 경기(827명), 인천(205명) 등 수도권 의원에 재취업했다.


상급종합병원에 재취업한 전공의는 1.7%인 88명에 그쳤고, 병원 815명(15.7%), 종합병원 763명(14.7%), 요양병원 383명(7.4%), 한방병원 58명(1.1%) 등이다.


사직 레지던트 9222명 중 4046명은 의료기관 밖에 있는 상태다.


전공의들의 사직과 재취업은 전국 의료기관 인력 현황에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전국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일반의는 모두 1만684명으로, 전공의 사직 전인 2023년 말 6041명에서 76.9% 늘었다.


의원에서 근무하는 일반의가 4073명에서 7170명으로 76.0% 늘고, 병원서 일하는 일반의는 1년 새 204명에서 842명으로 4배 이상 급증했다. 반면 전국 의료기관의 인턴은 2023년 말 대비 96.4%, 레지던트는 88.7% 급감했다.


1년째 이어진 전공의 사직으로 올해 전문의 시험 1차 합격자가 작년의 18% 수준으로 급감한 탓에 올해 말 전문의 숫자는 작년 말 수준에 머물거나 오히려 줄어들 수도 있다.

허찬영 기자 (hcy@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1
관련기사

댓글 1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 보고이따 2025.02.18  11:45
    비겁한 수재들. 
    배알도 없고, 소신도 없이... ...  
    깜냥도 안되는 쓰레기는 안돼야 할텐데.
    어디가서 얼굴은 들고 댕기나요
    마스크라도 꼭 쓰고 댕겨요
    0
    0
1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