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교육부, 국가연구소 사업 본격 추진
대학부설연구소 선정해 장기적이고 안정적 지원
연구소 지속 가능한 운영 위해 행·재정적 지원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는 지속 가능한 대형·융복합 연구거점(대학부설 연구소)의 선도모델 창출을 통해 국내 대학 연구 역량과 연구지원 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국가연구소(NRL2.0)’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국가연구소 사업은 과기정통부와 교육부가 협업해(재원 분담)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선도할 대학부설연구소를 선정, 연 100억원을 10년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4개 연구소를 선정할 계획이다.
대학은 창의적 인재 양성과 선도적 연구 개발의 요람이나, 국내 대학은 학과 중심 운영 등으로 글로벌 연구 경쟁력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여전하다. 학령인구 감소와 해외 인재 유출 등으로 인해 혁신적 연구생태계 구축에 어려움(비전임연구원 연구환경 불안정)이 가중되고 있다.
과기정통부와 교육부가 함께 지속가능한 융복합·대형 연구거점이 될 대학연구소를 육성하는 국가연구소 사업은 3가지 주안점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먼저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탁월한 연구를 선도할 소수 대학부설연구소를 선정해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원한다.
부처·학문·주체 간의 경계를 허물어 연구소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도 병행한다. 대학 내 학과 및 외부 연구기관과의 협력도 활성화한다.
또 대학별 자율적 투자를 보장해 연구·인력·시설 등을 패키지 형태로 지원하고, 각 대학의 발전 전략과 연계해 독창적이고 다양한 연구 혁신 시스템을 구축한다.
특히 연구개발 혁신의 주무 부처인 과기정통부와 고등교육 경쟁력 제고의 주무 부처인 교육부가 부처 간 벽을 허물고, 사업의 기획부터 추진, 성과관리까지 전주기적으로 협업할 예정이다.
최근 과기정통부와 교육부는 국가연구소(NRL2.0) 사업 기본계획을 국가연구소 사업 추진위원회에서 심의, 2월 10일 확정·공고했으며, 4월 말까지 신규 과제 접수를 진행할 예정이다.
사업의 지원 대상은 이공 분야 대학부설 연구소로 기존의 연구소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소의 재편 또는 신설 연구소의 신청도 가능하다.
신청 연구소에 대해서는 연구소의 역량 및 발전계획(연구개발 및 연구소 운영 포함), 대학의 연구소 육성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평가를 거쳐 선정된 연구소는 2025년 9월부터 사업을 시작하며, 과기정통부와 교육부는 연구 및 대학 행정 전문가 등으로 컨설팅단을 구성, 지속적으로 국가연구소의 효율적 운영을 지원할 예정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첨단 연구의 전초기지인 대학의 연구경쟁력 향상은 국가적으로 매우 시급한 과제”라며 “새롭게 추진되는 국가연구소 사업이 국내 대학의 연구역량 제고와 선도형 연구시스템 확충에 기폭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국가연구소 사업 신규과제 공모내용과 추진 일정 등 자세한 내용은 과기정통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2월 24일)과 오프라인(2월 27일)을 병행한 설명회를 개최해 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소통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