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물 건너간 임대차2법 폐지...‘진퇴양난’에 빠진 임대사업자


입력 2024.12.23 06:03 수정 2024.12.23 06:03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탄핵 정국 속 임대인 규제 완화 기조 꺾이나

무한 계약갱신청구권 철회했지만…임대인 잡기 우려 여전

임대반환보증도 126%룰, 임대인들 “역전세,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

비아파트 전세시장이 전세사기로 쑥대밭이 된 이후 주택임대사업자들도 힘겨운 보릿고개를 넘고 있다.ⓒ데일리안 DB

비아파트 전세시장이 전세사기로 쑥대밭이 된 이후 주택임대사업자들도 힘겨운 보릿고개를 넘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 상한제) 폐지가 사실상 추진 동력을 잃은 데 이어 향후 임대사업자들이 의무 가입해야 하는 임대반환보증 문턱마저 높아질 예정이어서 더이상 임대사업을 영위할 수 없는 지경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3일 부동산 업계 등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임대차 2법 폐기 등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에 제동이 걸릴 것이란 관측이 크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향후 정권 교체 가능성마저 거론되고 있어 임대인들을 향한 규제가 더 가중될 것이란 우려도 감지된다.


임대인 옥죄는 정책 예고?…“비아파트 전세시장 소생 불가”


지난 9일 윤종오 진보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주택임대차보호법 일부 개정안’이 철회됐다.


이 개정안은 임차인의 계약갱신청구권을 무한으로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논란이 된 바 있다.


개정안이 발의된 직후 임대인의 재산권을 과도하게 제한한다는 불만이 쏟아지면서 곧바로 철회되긴 했지만 임대인들 사이에선 앞으로도 각종 규제로 주택 임대차 시장이 얼룩질 것이란 걱정이 여전하다.


마포구에서 주택 임대사업을 영위하는 A씨는 “이런 법은 현재 계약을 마치고 거주 중인 임차인들만을 위한 법 아닌가. 임대인은 물론 새로 전셋집을 구하려는 임차인들에게도 모두 악법”이라며 “임대차 시장이 얼어붙고 전세 매물이 잠겨 결국 가격이 폭등하는 결과로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임차인의 계약갱신청구권으로 계약 기간이 사실상 4년으로 늘어나고 보증금 인상액을 5% 이내로 제한하는 임대차 2법은 시행 당시부터 전셋값 급등 등 시장 불안을 촉발할 수 있다는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실제로 2020년 법안 시행과 맞물려 부동산 가격이 급등해 전셋값이 크게 상승했고, 현재는 전세사기 사태, 금리 인상 등으로 역전세난이 부메랑으로 되돌아 와 비아파트 전세시장을 휩쓸고 있다.


강동구의 임대사업자 B씨도 “임대인 잡기는 전 정권부터 시작됐다”며 “비상식적이고 강제적인 규제가 계속되고 있는데 임대차 2법 폐기도 물 건너가지 않았나. 있는 주택을 다 팔아버리고 포기하고 싶은 마음 뿐”이라고 말했다.


임대반환보증 문턱 높이는데, “당장 보증금 마련할 여유 없어”


이미 임대사업자들은 전세반환보증 ‘126% 룰’로 인해 신음하고 있다.


임차인들이 가입하는 전세반환보증 가입 기준이 당초 공시가격 150%(공시가격 150%·전세가율 100%)에서 126%(공시가격 140%·전세가율 90%) 수준으로 강화되면서 전세 시세도 덩달아 낮아졌다.


임차인들이 보증에 가입하는 물건만 찾게 되면서다.


문제는 주택 유형별로 차등화된 가격 산정 방식을 적용하는 임대반환보증을 전세반환보증 수준으로 가입 요건을 강화한다는 점이다.


임대반환보증은 임대사업자들이 의무 가입하는 보증으로 해당 조치는 다음 달부터 신규 사업자에 한해 먼저 시행한 이후, 2026년 7월부터는 기존 사업자까지 확대 적용된다.


A씨는 “현재도 전세반환보증에 맞춰 시세가 형성돼 있어 임대반환보증 가입이 가능한 물건도 공시가격 126%에 상응하는 시세로 임차인을 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이 때문에 퇴거하는 임차인들에게 돌려줘야 할 돈이 수천만원인데, 만기가 돌아오는 건수가 많아 감당이 어려울 지경”이라고 말했다.


공인중개사 D씨도 “역세권의 한 오피스텔은 한 동은 126%룰 이후 절반 정도가 경매로 넘어갔다”며 “차차 만기가 돌아오면 경매로 넘어가는 물건은 더 많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정희 기자 (1jh@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