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급속 충전, 화재 원인이라는데도…서울시, 전기차 충전 사업 계속 추진 방침


입력 2024.08.08 05:18 수정 2024.08.08 05:18        허찬영 기자 (hcy@dailian.co.kr)

이호근 대덕대 교수 "전기차 급속 충전에 따른 배터리의 노후화가 원인" 주장

"급속 충전 하면서 빠져나온 이온들이 제자리 찾아가지 못한 과정서 덴드라이트 발생"

서울시 "온갖 얘기 난무하는 상황서 급속 충전 무조건 위험하다고만 볼 수 없는 상황"

지난 6일 충남 금산에 한 주차타워 1층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차에 불이 났다.ⓒ충남 금산소방서 제공

최근 주차 중이던 전기차에 불이 나는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전기차의 안전성에 대한 불신이 가중되는 가운데 급속 충전이 화재의 원인이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서울시는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는 상황에서도 일단 계속 진행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난 1일 인천 청라국제도시의 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벤츠 전기차로 추정되는 차량이 폭발하며 발생한 화재가 8시간여 만에 겨우 꺼졌다. 이어 지난 6일에는 충남 금산군 금산읍의 한 주차타워 1층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차에 불이 났다. 심지어 청라에서 일어난 화재는 자동차가 충전중이 아니었던 것으로 밝혀지며 안전성에 심각한 의문을 품게 한다.


이달 들어 발생한 두 번의 차량 화재가 시작된 곳으로 전기차 배터리가 지목되고 있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화재의 원인이 전기차 급속 충전에 따른 배터리의 노후화(과부하)라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7일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덴드라이트(배터리가 노후화하면서 리튬 일부가 음극 표면에 쌓여 생기는 결정)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것은 급속 충전을 하게 될 경우 빠져나온 이온들이 제자리를 찾아가지 못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덴드라이트로 인해 배터리 내부에 쌓인 침전물들이 자라나면서 절연막을 파괴해 전극상의 간격을 좁히고 이 과정에서 발생한 쇼트를 통해 전류가 배터리에 통하면서 열이 발생하는 것"이라며 "전기차 배터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급속 충전기보다는 완속 충전기를 사용하고 배터리 충전량도 85~90% 수준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시내 주차장 내 전기차충전소에서 전기차량이 충전되고 있다.ⓒ뉴시스

이 교수는 "80%까지만 충전이 가능한 이픽 전기 충전기 같이 모든 급속 충전기에도 이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며 "완속 충전기의 경우에도 85%까지만 충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충전량에 따른 이용 요금에 차등을 두는 것이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서울시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을 차질 없이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앞서 시는 지난달 30일 신성장동력인 전장 사업의 일환으로 전기차 충전 관련 대기업들과 '이용하기 편리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맺었다.


시 관계자는 "급속 충전이 위험하다 아니다 이런 얘기에 대해 전문가가 아닌 시는 판단할 능력이 없다"며 "온갖 얘기가 난무하는 상황에서 급속 충전은 위험하고 완속 충전은 안전하다고 볼 수 없는 것이 시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전기차 화재에 대한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다"며 "이런 상황에서 급속 충전에만 특별하게 의미를 부여해 전기차 인프라 확충 사업 진행의 대응 방안을 새롭게 수립하는 등의 계획은 따로 없다"고 강조했다.

허찬영 기자 (hcy@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