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당국자 "김주애, 세습 과정에서의 조기 등판이라 볼 수 있어"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6일 "북한이 김정은의 딸(주애)을 지속적으로 부각하고 있다"며 "어려움 속에서 세습의지를 과시하기 위해 다소 서두르고 있단 방증"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경기도 양평군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올 한해 북한 당국이 여러 어려움에 봉착했단 신호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며 "외교 거점인 재외공관 철수가 이어진 사실은 북한 외교의 난관과 재정적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선전에도 불구하고 수요량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작황과 당국의 양곡 유통 통제로 주민 식량난이 지속되고 있다"며 "특히 최근 180여명까지 증가한 탈북민 숫자는 코로나 외에 문화 영향도 분명히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이 최근 소위 '군사정찰위성' 발사 이후 감시초소(GP) 혹은 판문점 무장화 등을 통해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는 건 이러한 내부적 어려움을 외부로 돌리고자 하는 의도가 있다고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에 김 장관은 북한이 대화의 길로 들어올 것을 거듭 촉구했다. 김 장관은 "북한은 전원회의에서 '군사정치'가 아닌 '민생정치'로 정책방향을 전환해야 한다"며 "이것이 김정은이 스스로 말한 ‘인민대중제일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군사와 경제의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직시하고 경제와 민생을 위해 과감히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상황을 오판하여 남북 간 대화와 협력을 계속 단절하는 '악수'를 두어서도 안 된다"며 "최근 북한이 담화에서 밝힌 대로 '대화와 대결' 중 무엇이 진정으로 북한의 미래에 도움이 되는 것인지, 무엇이 북한주민의 민생을 위한 것인지 스스로 현명하게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이 자리를 빌려 북한이 우리 정부의 자위적 조치에 대해 억지 주장을 하면서 군사적 도발을 지속하는데 유감을 표하며, 추가적인 긴장 조성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통일부 고위당국자는 이 자리에서 김정은의 딸 김주애의 거듭되는 노출에 대해 후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세습과정에서의 조기 등판이라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그 근거로 △김주애 등장 19번 중 16번이 군사적 활동과 관련된 활동이라는 점 △11월 30일 공군사령부 방문에서 군 사령관들이 김주애에게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는 점 △9·9절 열병식에서 정중앙에 앉아있다는 점 △박정천 당 군정지도부장이 김주애에 무릎꿇고 대화를 나눈 점 △열병식 행사에서 러시아와 중국 대표단에 경례를 한 모습 △항공절 행사에서 김정은과 커플룩으로 등장한 점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김주애가 군사령부를 방문할 당시 군인들이 외친 구호가 '백두혈통 결사옹위'"라며 "이런 것들을 보면 김주애의 후계자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 당국자는 북한이 2021년 8차 당대회에서 김 위원장이 맡고 있는 당 총비서 다음 직책인 '제1비서'직을 신설한 점을 주목했다.
고위당국자는 "최고권력자(김정은)가 살아있는데 주변 사람이 1비서직을 제안하기 어렵다. 절대적으로 김정은 자신이 제안해서 1비서직이 신설됐고, 그것은 권력 승계를 위한 제도적 장치"라며 "제도적으론 제1비서를 만들어서 그걸 공백 상태로 둬왔지만 최근 행보를 보게 되면 김주애를 염두에 둔 움직임"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