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이동관 기습적 사의 표명에 당혹 기색
오늘 본회의 탄핵소추안 표결 전략 차질 불가피
李 "전혀 예상 못했다…이런 '꼼수' 옳지 않아"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이 전격 사의를 표명하면서, 이 위원장 탄핵을 추진하던 더불어민주당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민주당은 단독으로 이 위원장 탄핵소추안을 의결하려 했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이 위원장의 사표를 수리할 가능성이 커 전략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이재명 대표는 1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위원장 사의 표명과 관련해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아침에 듣고 이렇게 '꼼수'로 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라며 "결국 '이동관 아바타'를 내세워서 끝내 방송 장악을 하겠다는 의도인 것 같은데 이해하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수 싸움에서 또 밀린 거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는 기자들의 언급에는 "이런 꼼수를 쓸 줄은 몰랐다. 사실 전혀 예상하기 어려운 비정상적인 국정수행 행태라서 예상 못했던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예상하지 못했다'는 언급을 여러 차례 한 건, 그만큼 당혹스럽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그는 "법과 원칙에 어긋나는 이런 비정상적인 행태에 대해서는 가능한 모든 방법을 찾아서 책임을 묻고 또 방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민주당은 이 위원장이 방통위 의결 절차를 위법하게 운영하고, 언론의 자유와 방송의 자유를 침해·위축하는 헌법 및 법률 위반 행위를 반복하고 있다는 명분으로 탄핵소추안을 발의했다.
탄핵소추안이 의결되면 헌법재판소 판단이 내려지기까지 이 위원장의 업무는 최장 180일 간 정지될 수 있다. 현재 방통위가 이 위원장과 이상인 방통위원 2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사실상 방통위의 기능이 정지되는 셈이다. 이 위원장이 윤 대통령에게 사의를 밝힌 것도, 이러한 방통위 기능 정지 사태를 막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민주당은 여야 합의대로 본회의를 열어 이 위원장과 검사 2명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하겠다고 윤 대통령과 여당을 압박하고 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이 본회의 개의 전 이 위원장의 사표를 수리하면 '탄핵 대상'이 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표결은 무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