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명 모집에 1704명 참관 신청 지원
경쟁률 11.4대 1…엑셀 ‘무작위 추첨’
수탁 갈등에 조작설…‘신뢰’ 회복 주목
오늘(10일) 진행하는 로또 복권 추첨 생방송 방청에 국민 150명이 선정돼 수시로 조작 논란에 휩싸였던 의혹이 회복될지 주목받고 있다.
9일 기획재정부 복권관리위원회와 동행복권(현 복권수탁 사업자)에 따르면 동행복권과 로또 추천 방송 주관사인 MBC가 지난달 16일부터 열흘간 방청신청을 받았다.
모집 결과 150명을 선정하는 자리에 1704명 신청자가 몰렸다. 경쟁률은 11.4대 1 수준에 달하는 모습을 보였다.
신청 대상은 지난 6개월간 로또·연금방송 방청 경험이 없는 19세 일반인으로 추첨을 통해 참관인을 선정했다.
로또 추첨 방송에 국민 150명이 방청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동행복권에 따르면 통상 매주 10~15명 내외 인원이 참석해 추첨 현장을 확인한다.
이번 대규모 방청 행사에 참여하는 방청단은 동행복권에서 엑셀을 이용한 무작위(랜덤) 방식으로 추첨을 마친 뒤 선정된 인원에게 개별 연락을 취한 것으로 파악됐다.
동행복권 관계자는 “매주 10명 내외 인원이 참관하지만, 이번 행사에 많은 인원이 지원할 것이라고 예상하진 못했다”며 “국민과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복권방송 추첨 공정성과 투명성을 알리기 위해 계획했다”고 말했다.
이날 방청단은 오후 MBC 상암동 스튜디오에서 로또 추첨 방송에 앞서 추첨기 점검, 추첨 방송 전 준비 과정 및 리허설을 살펴본 뒤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을 방청한다. 또 ‘복권에 대한 궁금증, 과학과 심리학이 답하다’를 주제로 한 토크쇼도 진행한다.
이번 행사를 통해 올해 초 차기 복권 운영 수탁자 선정과정 잡음 해소와 신뢰성 회복에 도움이 될지는 두고 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제1057회 로또 추첨 결과 2등 당첨자가 무더기로 쏟아졌다. 1등 17명(건)에 이어 2등에서 무려 664건의 당첨자가 나왔다. 특히 같은 시간대, 한 판매점에서 한 사람이 구매한 로또에서 2등이 103장이나 나와 의혹이 한층 높아졌다.
올해 초 차기 복권 수탁사업자 선정에도 논란이 있었다. 우선협상 대상이었던 행복복권이 서류 심사 결과 허위 사실이 적발돼 자격을 박탈당했기 때문이다.
행복복권은 애초 차기 복권 수탁 사업(2024~2028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그런데 제안서류 실사 과정에서 허위 사실이 발견됐다. 기재부는 평가 대상자 과징금 이력 누락, 공동대표 경력 등에서 허위 사실 기재를 확인하고 자격을 박탈했다.
이에 복권위 사무처는 “제1057회차 2등 다수 당첨은 선호 번호가 우연히 추첨이 된 결과”라며 “조작은 불가능하다”고 해명한 바 있다.
한편, 이날 참관 행사에는 최상대 기재부 2차관 겸 복권위 위원장과 홍보대사 배우 김소연씨, 경찰, 언론인, 일반인 등 20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