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내 기관들 대상 사이버 강탈 행위"
"처벌도 거의 받지 않아…국가안보 위협"
북한이 거액의 암호화폐 등을 탈취해 불법 무기개발에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의소리(VOA)방송에 따르면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미 국토안보부장관은 18일(현지시간) '싱가포르 국제 사이버주간 서밋(SICWS)' 연설에서 "북한이 지난 2년 동안 사이버 탈취를 통해 약 10억 달러가 넘는 가상화폐와 경화를 대량파괴무기(WMD) 프로그램의 자금으로 사용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그들은 국가 내 기관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강탈 행위를 일삼고 있다. 처벌을 거의 받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마요르카스 장관은 또 "러시아와 이란, 북한, 중국과 같은 적대국가들과 전 세계의 사이버 범죄자들은 더욱 교묘해지고 있으며 부정적인 결과만 생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들의 사이버 행태가 모든 경제와 국가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며 "이보다 더한 위험에 처한 적은 없다. 방법은 각자 다르지만 해를 입히는 목적은 같다"고 말했다.
그는 사용자의 컴퓨터를 장악하고 데이터를 암호화해 금전거래 등을 요구하는 '랜섬웨어' 공격을 거론하면서 파괴와 통제라는 목적과 함께 '금전적 이익'을 위한 공격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또 미 연방수사국(FBI) 보고서를 인용해 2021년에만 미국에 2500건 이상의 랜섬웨어 공격이 벌어진 것으로 집계된다고 강조했다.
지난 7월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앤 뉴버거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북한이 악의적 사이버 활동을 통해 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자금의 최고 3분의 1까지 충당하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힌 바 있다.
마요르카스 장관은 바이든 행정부가 랜섬웨어 대응을 위한 강력한 '공조관계'를 구축하고 있다며 유럽연합(EU), 한국과 랜섬웨어 실무그룹을 가동한 사실을 알렸다.